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태복음 1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태복음 개요

    • 바. 예수께서 대규모로 수행될 가르치는 일에 대해 제자들에게 설명하고 지시하시다 (9:35–11:1)

      •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9:35-38)

      • 열두 사도 (10:1-4)

      • 전파 활동에 관한 지시 (10:5-15)

      • 제자들이 박해를 받을 것이다 (10:16-25)

      •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을 두려워하라 (10:26-31)

      • 예수께서는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오셨다 (10:32-39)

      • 예수의 제자들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상을 받는다 (10:40-42)

      • 예수께서 가르치고 전파하려고 떠나시다 (11:1)

마태복음 10:1

상호 참조 성구

  • +막 3:14, 15; 6:7; 눅 9:1, 2; 10:17; 행 16:16-18

마태복음 10:2

  • 사도: 또는 “보냄을 받은 자”. 그리스어 원어 아포스톨로스는 “보내다”라는 의미의 동사 아포스텔로에서 나온 단어이다. (마 10:5; 눅 11:49; 14:32) 요 13:16에 나오는 예수의 말씀에 이 단어의 기본 의미가 분명히 나타나 있는데, 그 구절에서는 이 단어가 “보냄을 받은 사람”으로 번역되어 있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 성경에서 베드로의 이름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방식으로 언급된다. (1) “시므온”, 히브리어 이름을 그리스어 형태로 표기한 것이다. (2) “시몬”. 그리스어 이름. (시므온과 시몬은 둘 다 “듣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에서 나왔다.) (3) “베드로”. (“바위”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이름으로, 성경에서 그에게만 붙여진 이름이다.) (4) “게바”. 베드로라는 이름의 셈어 형태이다. (욥 30:6과 렘 4:29에 나오는 히브리어 케핌[바위]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5) 두 이름의 결합형인 “시몬 베드로”.—행 15:14; 요 1:42; 마 16:16.

상호 참조 성구

  • +막 3:16-19; 눅 6:13-16; 행 1:13
  • +요 1:42; 행 15:14
  • +막 1:16; 요 1:40
  • +마 4:21

마태복음 10:3

  • 바돌로매: “톨마이의 아들”이라는 의미이다. 요한복음에 나오는 나다나엘로 여겨진다. (요 1:45, 46) 복음서들을 비교해 보면,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는 바돌로매와 빌립을 관련지어 언급하는데 요한복음에서는 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다나엘과 빌립을 연관 짓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마 10:3; 눅 6:14.

    세금 징수원: 세금 징수원이었던 마태는 이 복음서를 기록하면서 돈의 액수와 숫자를 여러 차례 언급한다. (마 17:27; 26:15; 27:3) 또한 그는 숫자를 더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그는 예수의 족보를 14대씩 나누어 세 부분으로 기록했다. (마 1:1-17) 또한 유의할 만한 점으로 마태는 주기도문의 일곱 가지 청원을 기록했으며 (마 6:9-13) 마 13장에서는 일곱 가지 비유를, 마 23:13-36에서는 일곱 가지 화를 기록했다. “세금 징수원”이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려면, 마 5:46 연구 노트 참조.

    마태: 레위라고도 알려져 있다.—막 2:14; 눅 5:27 연구 노트 참조.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막 3:18 연구 노트 참조.

    다대오: 눅 6:16과 행 1:13에 나오는 사도들의 이름 가운데는 다대오라는 이름이 없고 대신 “야고보의 아들 유다”가 나온다. 이 점을 볼 때 다대오는 요한복음에서 “가룟 유다가 아닌 다른 유다”로 언급된 사도의 또 다른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요 14:22) 때때로 유다가 아니라 다대오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은 배반자 가룟 유다와 구별하기 위해서였을 수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요 1:45
  • +요 11:16; 20:27
  • +막 2:14; 눅 5: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58면

  • 출판물 색인

    통-2 558

마태복음 10:4

  • 가나내 사람: 사도 시몬을 사도 시몬 베드로와 구별시켜 주는 칭호. (막 3:18) 이 표현은 “열심당원; 열성적인 사람”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나 아람어 표현에서 유래한 것 같다. 누가는 시몬을 “열심 있는 사람”이라고 부르는데, 그가 사용한 그리스어 젤로테스 역시 “열심당원; 열성적인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눅 6:15; 행 1:13) 시몬이 한때 로마의 통치에 반대하는 유대인 파벌인 열심당에 속해 있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가 열심과 열정을 가진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칭호를 얻었을 수 있다.

    가룟: 또는 “이스가리옷”. “그리옷 출신의 사람”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유다의 아버지인 시몬도 “가룟”이라고 불렸다. (요 6:71)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시몬과 유다가 유대 지방의 성읍인 그리옷헤스론 출신이라는 의미인 것으로 이해된다. (수 15:25) 그렇다면 유다는 열두 사도 중 유일하게 유대 지방 사람이었을 것이다. 나머지는 모두 갈릴리 지방 사람이었다.

상호 참조 성구

  • +시 41:9; 마 26:47; 요 13: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58면

  • 출판물 색인

    통-2 558;

    파78 10 10-11

마태복음 10:5

상호 참조 성구

  • +막 6:7; 눅 9:1, 2
  • +왕하 17: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7/8/15, 8면

  • 출판물 색인

    역 제51장; 파87 8/15 8;

    파80 2 11; 파75 156; 파74 491

마태복음 10:6

상호 참조 성구

  • +사 53:6; 겔 34:6; 행 13:45, 4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21면

  • 출판물 색인

    통-2 621;

    파80 2 11; 파78 10 10-11; 파75 156; 파74 491

마태복음 10:7

  • 하늘 왕국이 다가왔다: 마 4:17 연구 노트 참조.

    전파하십시오: 공개적으로 널리 알리는 것을 가리킨다.—마 3:1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4:17; 눅 10: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통찰」 제2권 815면

    「예수—길」 122-123면

    「파수대」

    2002/1/1, 9면

    1987/7/15, 8-9면

    「선포자」 556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1과; 통-2 815; 예길 122; 파02 1/1 9; 와 556; 역 제49장; 파87 7/15 9; 파86 2/1 16;

    파83 5/15 11; 왕 62; 연77 3; 조 8; 파71 6, 229

마태복음 10:8

  • 나병 환자: 마 8: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나병; 나병 환자”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눅 9:2
  • +행 8: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깨어라!」

    2010/6, 22-23면

    「파수대」

    2003/8/1, 20-22면

    2001/2/15, 28면

    1987/10/15, 21면

    1987/7/15, 9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1과; 깨 10/6 22-23; 파03 8/1 20-22; 파01 2/15 28; 역 제49장; 파87 7/15 9; 파87 10/15 21;

    파73 440; 깨73 3/22 4; 깨73 11/22 5

마태복음 10:9, 10

멀티미디어

  • 지팡이와 식량 자루

각주

  • *

    직역하면 “구리”.

상호 참조 성구

  • +막 6:8, 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91면

    「통찰」 제1권 478면

    「왕국 봉사」

    2013/6, 1면

    「파수대」

    2011/3/15, 6면

    1987/7/15, 9면

  • 출판물 색인

    통-1 478; 사 13/6 1; 파11 3/15 6; 따 91; 역 제49장; 파87 7/15 9;

    파79 1 47; 파78 10 11

마태복음 10:10

각주

  • *

    또는 “여벌의 옷”.

상호 참조 성구

  • +눅 9:3
  • +민 18:30, 31; 눅 10:4, 7; 고전 9:7, 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91면

    「통찰」 제2권 149면

    「통찰」 제1권 1082면

    「왕국 봉사」

    2013/6, 1면

    「파수대」

    2011/3/15, 6면

    1987/7/15, 9면

  • 출판물 색인

    통-1 1082; 통-2 149; 사 13/6 1; 파11 3/15 6; 따 91; 역 제49장; 파87 7/15 9; 파86 2/1 16;

    파79 1 47; 파78 10 11

마태복음 10:11

  • 거기에 머무르십시오: 막 6:10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막 6:10; 눅 9: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조직」 90-91면

    「통찰」 제2권 764면

    「파수대」

    2007/11/15, 28-29면

    2001/7/15, 11-13면

    1996/12/15, 16-17면

    1996/2/15, 19-20면

    1988/7/15, 11면

    1988/1/1, 23-24면

    「왕국 봉사」

    2003/12, 1면

  • 출판물 색인

    직 90-91; 통-2 764; 파07 11/15 28-29; 사 03/12 1; 파01 7/15 11-13; 파96 2/15 19-20; 파96 12/15 16-17; 파88 1/1 23-24; 파88 7/15 11; 파86 2/1 16;

    파83 5/15 16; 파79 11 33; 연77 4

마태복음 10:12

  • 인사: 유대인은 흔히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이라고 인사했다.—삿 19:20; 마 10:13; 눅 10: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8/6, 22면

    「파수대」

    1989/6/15, 18면

    1988/7/15, 11면

  • 출판물 색인

    파18.06 22; 파89 6/15 18; 파88 7/15 11;

    파84 11/15 18; 연77 4

마태복음 10:13

상호 참조 성구

  • +눅 10: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8/5, 11면

    「파수대」

    2001/7/15, 13면

    1989/6/15, 18면

  • 출판물 색인

    파18.05 11; 파01 7/15 13; 파89 6/15 18; 파86 2/1 16-17;

    파84 11/15 18; 연77 4

마태복음 10:14

  •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십시오: 이 행동은 제자들이 하느님의 심판으로 인해 그곳에 닥칠 결과에 대해 자신들에게 책임이 없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비슷한 표현이 막 6:11과 눅 9:5에도 나오는데, 마가와 누가는 “그들에 대한 [불리한] 증거로”라는 말을 함께 사용했다. 바울과 바나바는 피시디아 안티오크에서 이 지침대로 행동했다. (행 13:51) 고린도에서 바울은 그와 비슷한 동작인 옷을 터는 행동을 하면서 그 의미를 이렇게 밝혔다. “여러분의 피가 여러분의 머리로 돌아갈 것입니다. 나는 깨끗합니다.” (행 18:6) 그런 동작은 제자들에게 생소한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당시 독실한 유대인들은 이방 나라를 여행하고 돌아올 때면 유대인의 영토로 들어가기 전에 신발에 묻은 먼지를 부정하다고 여겨 털어 내곤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께서는 분명 그와는 다른 의미로 제자들에게 이러한 지침을 주셨을 것이다.

상호 참조 성구

  • +막 6:11; 눅 9:5; 10:6, 11; 행 13:50, 51; 18:5,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644, 703, 812면

    「파수대」

    1988/7/15, 11면

    1988/2/1, 28-29면

    1988/1/1, 23-24면

  • 출판물 색인

    통-1 644, 812; 통-2 703; 파88 1/1 23-24; 파88 2/1 29; 파88 7/15 11;

    사 80/12 3; 연77 4; 파73 346

마태복음 10:15

  •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더 견디기 쉬울 것입니다: 눅 10:1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창 19:4, 5; 벧후 2:6; 유 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54면

    「통찰」 1148, 1204-1205, 1272-1273면

    「파수대」

    1988/6/1, 30-31면

    1987/7/15, 9면

  • 출판물 색인

    파24.05 5-6; 통-1 154, 1148, 1272-1273; 통-2 1204-1205; 파88 6/1 30-31; 파87 7/15 9;

    원 179; 깨76 1/22 12; 부 155

마태복음 10:16

  • 뱀처럼 조심스러우면서도: 여기서 조심스럽다는 것은 신중하고 분별력이 있으며 슬기롭다는 의미이다. 동물학자들은 뱀이 대체로 경계심이 많고 공격하기보다는 도망가는 쪽을 택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예수께서 하신 말씀은 전파 활동을 할 때 반대자들을 조심하고 위험해 보이는 상황을 피하라고 제자들에게 주의를 주신 것이다.

    비둘기처럼 순진하게: 예수께서 하신 두 가지 권고(조심스럽게 되는 것과 순진하게 되는 것)는 서로 보완이 된다. (이 구절에 나오는 뱀처럼 조심스러우면서도에 대한 연구 노트 참조) “순진하다”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직역하면 “섞인 것이 없다” 즉 “더럽혀져 있지 않다; 순수하다; 순결하다”)는 롬 16:19(“악한 것에 대해서는 순진하기를”)과 빌 2:15(‘나무랄 데 없고 순결한 하느님의 자녀’)에도 나온다. 이 구절 즉 마 10:16에서 “순진하게” 된다는 말은 진실하고 정직하고 속임수가 없고 순수한 동기를 갖는다는 의미인 것 같다. 히브리어에서 비둘기는 이러한 특성들과 그 밖의 관련된 특성들을 상징하는 비유적인 표현이나 시적 표현으로 종종 사용된다. (아 2:14; 5:2. 마 3:16 연구 노트 비교) 예수의 말씀의 취지는 그분의 양 같은 제자들이 마치 이리들 가운데 있을 때처럼 박해를 받을 경우, 뱀과 비둘기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어 조심스럽고 슬기롭고 마음이 순수하고 나무랄 데 없고 순결하게 처신해야 한다는 것이다.—눅 10:3.

멀티미디어

  • 이리

상호 참조 성구

  • +눅 10:3
  • +빌 2:14, 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31면

    「파수대」 (연구용)

    2016/4, 29면

    「파수대」

    1996/7/15, 22-23면

  • 출판물 색인

    통-1 831; 파16.04 29; 파96 7/15 22-23;

    파82 8/1 18; 깨79 12 27; 깨78 2/22 4; 연77 5

마태복음 10:17

  • 법정: 여기서 “법정”으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시네드리온의 복수형이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이 단어는 주로 예루살렘에 있던 유대인의 최고 법원인 산헤드린을 가리킨다. (용어 설명 “산헤드린” 및 마 5:22; 26:59 연구 노트 참조) 하지만 이 단어는 회의나 모임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이기도 했다. 여기서는 회당에서 열리는 지방 법정을 가리키는데, 이 법정은 채찍질과 파문의 형벌을 내릴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마 23:34; 막 13:9; 눅 21:12; 요 9:22; 12:42; 16:2.

멀티미디어

  • 채찍

상호 참조 성구

  • +마 24:9
  • +행 5:40; 고후 11:24
  • +마 23:34; 막 13:9; 눅 21:12, 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632-633면

    「파수대」

    2003/3/1, 12-13면

  • 출판물 색인

    통-1 632-633; 파03 3/1 12-13;

    연77 5

마태복음 10:18

상호 참조 성구

  • +행 4:8; 24:10; 25:23; 26:25; 27:23, 24
  • +마 24: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14면

    「파수대」 (연구용)

    2016/9, 16면

    「예수—길」 124면

    「파수대」

    2003/3/1, 12-13면

    1991/5/15, 31면

    1987/8/1, 8면

    「선포자」 486-488, 678면

  • 출판물 색인

    통-2 314; 파16.09 16; 예길 124; 파03 3/1 12-13; 와 486-488, 678; 파91 5/15 31; 역 제50장; 파87 8/1 8;

    연77 5; 파74 454

마태복음 10:19

상호 참조 성구

  • +렘 1:7; 막 13:11; 눅 12:11, 12; 21:14, 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1/9, 25면

    「통찰」 제2권 314면

  • 출판물 색인

    파21.09 25; 통-2 314;

    파80 12 6; 령 78; 연77 5; 파74 454

마태복음 10:20

상호 참조 성구

  • +요 14: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1/9, 25면

    「통찰」 제2권 314면

  • 출판물 색인

    파21.09 25; 통-2 314;

    파80 12 6; 령 78; 파74 454

마태복음 10:21

상호 참조 성구

  • +미 7:6; 마 10:36; 막 13:12, 13; 눅 21:16; 요 16: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24면

    「파수대」

    1991/5/15, 31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24; 파91 5/15 31

마태복음 10:22

  • 내 이름 때문에: 마 24:9 연구 노트 참조.

    인내하는: 마 24:13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4:9; 눅 21:17; 요 15:21; 행 9:15, 16
  • +마 24:13; 눅 21:19; 계 2: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24면

    「파수대」

    1987/8/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24; 역 제50장; 파87 8/1 8;

    연77 4; 파74 64

마태복음 10:23

  •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3:34; 행 8: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24면

    「파수대」

    2002/4/15, 32면

    1987/8/1, 8-9면

  • 출판물 색인

    파24.05 10; 예길 124; 파02 4/15 32; 역 제50장; 파87 8/1 8-9;

    파79 6 47

마태복음 10:24

상호 참조 성구

  • +요 13:16; 15: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124-125면

    「파수대」

    1987/8/1,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124-125; 역 제50장; 파87 8/1 9;

    연77 5

마태복음 10:25

  • 베엘세붑: 바알세붑의 변화형인 것 같다. 바알세붑은 “파리들의 주인”이라는 의미로, 에그론에서 블레셋 사람들이 숭배한 바알을 가리킨다. (왕하 1:3) 일부 그리스어 사본은 베엘제불 또는 베에제불이라는 다른 형태의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 표현은 “높은 거처(처소)의 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성경에 나오지 않는 히브리어 단어인 제벨(똥)을 연상시키려고 발음이 비슷한 말을 사용한 것이라면 “똥의 주인”이라는 의미일 수도 있다. 마 12:24에 나오는 것처럼, 이 말은 악귀들의 군왕 즉 통치자인 사탄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얼마나 더: 마 7:11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2:21
  • +마 12:24; 막 3:22; 눅 11:15; 요 8:4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69-870면

  • 출판물 색인

    통-1 869-870;

    연77 5

마태복음 10:26

상호 참조 성구

  • +막 4:22; 눅 8:17; 12:2

색인

  • 출판물 색인

    연77 5

마태복음 10:27

  • 빛 가운데서 알리십시오: 공개적으로 널리 알리는 것을 가리킨다.

    옥상에서 전파하십시오: “공개적으로 선포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 성경 시대에는 집에 평평한 옥상이 있었다. 옥상은 어떤 사실을 널리 알리기에 좋은 장소였고 이곳에서 하는 행동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삼하 16:22.

멀티미디어

  • 지붕이 평평한 이스라엘의 전형적인 집

상호 참조 성구

  • +눅 1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992-993면

  • 출판물 색인

    통-1 992-993;

    연77 5; 조 114

마태복음 10:28

  • 영혼: 또는 “생명”. 미래에 부활되어서 누리게 될 생명을 가리킨다. 그리스어 프시케와 그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네페시(두 단어 모두 종종 “영혼”으로 번역된다)는 기본적으로 (1) 사람, (2) 동물, (3) 사람이나 동물의 생명을 가리킨다. (창 1:20; 2:7; 민 31:28; 벧전 3:20 및 각 구절의 각주 참조) 그리스어 프시케가 “사람의 생명”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사례는 마 6:25; 10:39; 16:25, 26; 막 8:35-37; 눅 12:20; 요 10:11, 15; 12:25; 13:37, 38; 15:13; 행 20:10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이 구절에 나오는 예수의 말씀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용어 설명 참조.

    영혼과 몸을 둘 다 ··· 멸할 수 있는 분: 오직 하느님께서만 사람의 “영혼”(이 문맥에서는 생명을 얻을 전망을 가리킴)을 멸하시거나, 그를 부활시켜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실 수 있다. 이 구절은 “영혼”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가 불멸이 아니라 멸망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 한 가지 사례이다. 그 외의 사례들을 보려면 막 3:4; 눅 17:33; 요 12:25; 행 3:23을 참조할 수 있다.

    게헨나: 영원한 멸망을 의미한다.—마 5:2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참조.

멀티미디어

  • 힌놈 골짜기(게헨나)

상호 참조 성구

  • +잠 29:25; 계 2:10
  • +눅 12:4, 5; 히 10: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00, 665면

    「통찰」 제2권 356-357면

    「예수—길」 124-125면

    「파수대」

    2007/5/15, 29-30면

    2001/12/1, 23면

    1987/8/1, 9면

    「추리」 370면

  • 출판물 색인

    통-1 100, 665; 통-2 356-357; 예길 125; 파07 5/15 29-30; 추 370; 파01 12/1 23; 역 제50장; 파87 8/1 9;

    파82 7/15 19-20; 발 118; 파80 4 9; 파78 10 27; 연77 5; 파76 518; 식 74; 깨76 1/22 10; 파75 199, 343; 부 96; 깨75 11/22 23; 파73 180, 326; 깨73 11/8 23

마태복음 10:29

  • 참새: 그리스어 스트루티온은 스트루토스의 지소형으로, 작은 새라면 어떤 것이든 가리킬 수 있지만 참새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았다. 참새는 식품으로 팔리는 모든 새 중에서 가장 값이 쌌다.

    가치가 적은 동전 한 닢: 직역하면 “1앗사리온”. 45분 치 임금에 해당한다. (부록 나14 참조) 예수께서는 참새 두 마리를 1앗사리온에 살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당시 그분은 3차 갈릴리 여행 중이셨다. 아마도 그로부터 약 1년 뒤에 유대에서 봉사하실 때, 예수께서는 참새 다섯 마리를 2앗사리온에 살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눅 12:6) 이 기록들을 비교해 보면, 참새는 네 마리를 살 경우 한 마리를 덤으로 줄 정도로 매우 가치가 적은 것으로 여겨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멀티미디어

  • 참새

상호 참조 성구

  • +신 22:6, 7; 눅 12:6, 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3, 18면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159

    「가까이 가십시오」 241-242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8과

    「파수대」 (배부용)

    2018년 제3호 4면

    「통찰」 477, 898면

    「신세계역」 1794면

    「파수대」

    2008/4/1, 9면

    2008/3/1, 12면

    2005/8/1, 4-5, 22-23면

    2005/2/1, 5-6면

    2003/7/1, 16-17면

    「깨어라!」

    2005/5/8, 15면

    1999/6/8, 12-13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159; 파23.03 18; 까 241-242; 행누 제38과; 파배18.3 4; 통-1 477; 통-2 898; 신세 1794; 파08 3/1 12; 파08 4/1 9; 파05 2/1 5-6; 파05 8/1 4-5, 22-23; 깨05 5/8 15; 파03 7/1 16-17; 깨99 6/8 12-13;

    식 79

마태복음 10:30

  • 여러분의 머리카락까지도 모두 세어 두셨습니다: 사람의 머리카락 수는 평균 10만 개 이상이라고 한다. 여호와께서 그처럼 세세한 점까지 잘 알고 계시므로 우리는 그분이 그리스도의 제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심을 확신할 수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21: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3, 18면

    「가까이 가십시오」 241-242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8과

    「통찰」 제1권 643면

    「파수대」

    2005/8/1, 4-5, 22-23면

    2005/2/1, 5-6면

    2003/7/1, 16-17면

    「깨어라!」

    1999/6/8, 12-13면

  • 출판물 색인

    파23.03 18; 까 241-242; 행누 제38과; 통-1 643; 파05 2/1 5-6; 파05 8/1 4-5, 22-23; 파03 7/1 16-17; 깨99 6/8 13;

    식 79

마태복음 10:31

상호 참조 성구

  • +마 6: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3, 18면

    「가까이 가십시오」 241-242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8과

    「파수대」 (배부용)

    2018년 제3호 4면

    「파수대」

    2006/5/1, 15면

    2005/8/1, 4-5면

    2005/2/1, 5-6면

    2003/7/1, 16-17면

    「깨어라!」

    1999/6/8, 12-13면

  • 출판물 색인

    파23.03 18; 까 241-242; 행누 제38과; 파배18.3 4; 파06 5/1 15; 파05 2/1 5-6; 파05 8/1 4-5; 파03 7/1 16-17; 깨99 6/8 12-13;

    파80 4 34; 식 79

마태복음 10:32

상호 참조 성구

  • +롬 10:9
  • +눅 12:8, 9; 계 3:5

마태복음 10:33

상호 참조 성구

  • +막 8:38; 눅 9:26; 딤후 2: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6/3/1, 6면

    1990/1/1, 13-14면

  • 출판물 색인

    파06 3/1 6; 파90 1/1 13-14;

    파74 417

마태복음 10:34

상호 참조 성구

  • +눅 12:51-5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2/7, 31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59과

    「통찰」 제2권 267-268면

    「파수대」 (연구용)

    2017/10, 12-16면

    「예수—길」 125면

    「파수대」

    2008/1/15, 29면

  • 출판물 색인

    파22.07 31; 행누 제59과; 통-2 267; 파17.10 12-16; 예길 125; 파08 1/15 29;

    깨73 3/22 6

마태복음 10:35

상호 참조 성구

  • +미 7: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59과

    「통찰」 제2권 267-268면

    「파수대」

    2013/11/15, 11면

    2008/1/15, 29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59과; 통-2 267; 파13 11/15 11; 파08 1/15 29;

    깨73 3/22 6

마태복음 10:3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2/7, 31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59과

    「파수대」

    2013/11/15, 11면

  • 출판물 색인

    파22.07 31; 행누 제59과; 파13 11/15 11;

    영 52; 깨73 3/22 6; 파71 320, 544

마태복음 10:37

상호 참조 성구

  • +마 19:29; 눅 14: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2/7, 31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58과

    「파수대」

    1995/10/1, 8-9면

  • 출판물 색인

    파22.07 31; 행누 제58과; 파95 10/1 8-9;

    파85 9/1 17; 파71 320

마태복음 10:38

  • 형주: 또는 “고통의 기둥”. 성경에서 그리스어 스타우로스가 처음 나오는 곳이다. 고전 그리스어에서 이 단어는 주로 수직의 기둥이나 말뚝을 가리켰다. 이 표현은 예수의 제자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고통과 수치, 고난, 죽음을 상징하기도 한다.—용어 설명 참조.

    지고: 또는 “받아들이고”. 예수의 제자가 되는 데 따르는 책임과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의미의 비유적인 표현이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16:24, 25; 막 8:34, 35; 눅 9:23; 14: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2/7, 31면

    「통찰」 제1권 159면

  • 출판물 색인

    파22.07 31; 통-1 159

마태복음 10:39

  • 영혼: 또는 “생명”. 용어 설명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눅 9:24; 17:33; 요 12:25

마태복음 10:40

상호 참조 성구

  • +마 18:5; 25:40; 눅 10:16; 요 12:44; 13:20

색인

  • 출판물 색인

    연77 6

마태복음 10:41

  • 예언자이기 때문에: 직역하면 “예언자의 이름으로”. 이 문맥에서 “~의 이름으로”라는 그리스어 관용 표현은 그의 직분과 그가 하는 일을 인정한다는 의미이다.—마 28:19 연구 노트 비교.

    예언자가 받는 상: 하느님의 참예언자를 받아들이고 지원하는 사람은 큰 상을 받는다. 왕상 17장에 나오는 과부에 관한 기록이 그 점을 잘 보여 준다.

상호 참조 성구

  • +왕상 17:9, 10, 20-23; 왕하 4:8, 13-1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3/11/1, 12면

  • 출판물 색인

    파03 11/1 12;

    파79 9 9; 연77 6

마태복음 10:42

상호 참조 성구

  • +마 25:40; 막 9:41; 히 6: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8/1/1, 23-24면

  • 출판물 색인

    파88 1/1 24;

    연77 6; 파76 501; 파74 108, 285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태 10:1막 6:7; 눅 9:1, 2
마태 10:5막 6:7; 눅 9:1, 2
마태 10:8눅 9:2
마태 10:9막 6:8, 9
마태 10:10눅 9:3
마태 10:11막 6:10; 눅 9:4
마태 10:14막 6:11; 눅 9:5

일반

마태 10:1막 3:14, 15; 눅 10:17; 행 16:16-18
마태 10:2막 3:16-19; 눅 6:13-16; 행 1:13
마태 10:2요 1:42; 행 15:14
마태 10:2막 1:16; 요 1:40
마태 10:2마 4:21
마태 10:3요 1:45
마태 10:3요 11:16; 20:27
마태 10:3막 2:14; 눅 5:27
마태 10:4시 41:9; 마 26:47; 요 13:18
마태 10:5왕하 17:24
마태 10:6사 53:6; 겔 34:6; 행 13:45, 46
마태 10:7마 4:17; 눅 10:9
마태 10:8행 8:20
마태 10:10민 18:30, 31; 눅 10:4, 7; 고전 9:7, 14
마태 10:13눅 10:5
마태 10:14눅 10:6, 11; 행 13:50, 51; 18:5, 6
마태 10:15창 19:4, 5; 벧후 2:6; 유 7
마태 10:16눅 10:3
마태 10:16빌 2:14, 15
마태 10:17마 24:9
마태 10:17행 5:40; 고후 11:24
마태 10:17마 23:34; 막 13:9; 눅 21:12, 13
마태 10:18행 4:8; 24:10; 25:23; 26:25; 27:23, 24
마태 10:18마 24:14
마태 10:19렘 1:7; 막 13:11; 눅 12:11, 12; 21:14, 15
마태 10:20요 14:26
마태 10:21미 7:6; 마 10:36; 막 13:12, 13; 눅 21:16; 요 16:2
마태 10:22마 24:9; 눅 21:17; 요 15:21; 행 9:15, 16
마태 10:22마 24:13; 눅 21:19; 계 2:10
마태 10:23마 23:34; 행 8:1
마태 10:24요 13:16; 15:20
마태 10:25벧전 2:21
마태 10:25마 12:24; 막 3:22; 눅 11:15; 요 8:48
마태 10:26막 4:22; 눅 8:17; 12:2
마태 10:27눅 12:3
마태 10:28잠 29:25; 계 2:10
마태 10:28눅 12:4, 5; 히 10:31
마태 10:29신 22:6, 7; 눅 12:6, 7
마태 10:30눅 21:18
마태 10:31마 6:26
마태 10:32롬 10:9
마태 10:32눅 12:8, 9; 계 3:5
마태 10:33막 8:38; 눅 9:26; 딤후 2:12
마태 10:34눅 12:51-53
마태 10:35미 7:6
마태 10:37마 19:29; 눅 14:26
마태 10:38마 16:24, 25; 막 8:34, 35; 눅 9:23; 14:27
마태 10:39눅 9:24; 17:33; 요 12:25
마태 10:40마 18:5; 25:40; 눅 10:16; 요 12:44; 13:20
마태 10:41왕상 17:9, 10, 20-23; 왕하 4:8, 13-17
마태 10:42마 25:40; 막 9:41; 히 6:1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태복음 10:1-42

마태복음

10 예수께서는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에게 더러운 영들을 제압하는 권한을 주시어,+ 그 영들을 쫓아내고 온갖 질병과 병약함을 고치게 하셨다.

2 열두 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먼저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과+ 그의 형제 안드레,+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형제 요한,+ 3 빌립과 바돌로매,+ 도마와+ 세금 징수원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다대오, 4 가나내 사람 시몬과 나중에 예수를 배반한 가룟 유다이다.+

5 예수께서는 이 열두 제자를 보내면서 그들에게 이런 지시를 하셨다.+ “이방 사람들의 길로도 들어서지 말고, 사마리아인의 도시로도+ 들어가지 마십시오. 6 오히려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들에게 계속 가십시오.+ 7 가면서 ‘하늘 왕국이 다가왔다’고 전파하십시오.+ 8 병든 사람을 고치고,+ 죽은 사람을 일으키며, 나병 환자를 깨끗하게 하고, 악귀를 쫓아내십시오. 여러분이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십시오.+ 9 전대에 금이나 은이나 동전*을 가지고 다니지 마십시오.+ 10 또한 여행용 식량 자루나 두 벌의 옷*이나 신발이나 지팡이를 가지고 다니지 마십시오.+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이 마땅합니다.+

11 어떤 도시나 마을에 들어가든지 그곳에서 합당한 사람을 찾아내고, 떠날 때까지 거기에 머무르십시오.+ 12 집에 들어갈 때에 집안사람들에게 인사하십시오. 13 그 집이 합당하면 여러분이 비는 평화가 그 집에 이를 것이고,+ 합당하지 않으면 그 평화가 여러분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14 어느 곳에서든 여러분을 받아들이거나 여러분의 말을 듣는 사람이 없으면, 그 집이나 도시를 떠날 때에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십시오.+ 15 진실로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심판날에 소돔과 고모라+ 땅이 그 도시보다 더 견디기 쉬울 것입니다.

16 내가 여러분을 보내는 것이 마치 양을 이리들 가운데로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뱀처럼 조심스러우면서도 비둘기처럼 순진하게 되십시오.+ 17 사람들을 경계하십시오. 그들이 여러분을 법정에 넘겨주고+ 회당에서 채찍질할+ 것입니다.+ 18 또한 여러분은 나 때문에 총독들과 왕들 앞에 끌려갈 것입니다.+ 그것은 그들과 이방 사람들에게 증거할 기회가 될 것입니다.+ 19 그러나 사람들이 여러분을 넘겨줄 때에, 무엇을 어떻게 말할까 염려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해야 할 말이 그때에 주어질 것입니다.+ 20 사실 말하는 이는 여러분만이 아닙니다. 바로 여러분의 아버지의 영이 여러분을 통해 말하는 것입니다.+ 21 형제가 형제를, 아버지가 자녀를 넘겨주어 죽게 하고, 자녀가 부모를 대적하여 일어나 죽게 할 것입니다.+ 22 그리고 여러분은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입니다.+ 그러나 끝까지 인내하는 사람은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23 한 도시에서 사람들이 여러분을 박해하거든, 다른 도시로 피하십시오.+ 진실로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사람의 아들’이 올 때까지 여러분은 이스라엘의 도시들을 결코 다 돌지 못할 것입니다.

24 학생이 선생보다 높지 않으며, 종이 주인보다 높지 않습니다.+ 25 학생이 선생처럼 되고 종이 주인처럼 되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사람들이 집주인을 베엘세붑이라고 불렀다면,+ 그의 집안사람들에게는 얼마나 더 그렇게 하겠습니까? 26 그러므로 그들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가려진 것은 모두 드러나게 되어 있고, 은밀한 것은 모두 알려지게 되어 있습니다.+ 27 내가 여러분에게 어둠 속에서 말하는 것을 빛 가운데서 알리십시오. 귓속말로 듣는 것을 옥상에서 전파하십시오.+ 28 몸은 죽여도 영혼은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영혼과 몸을 둘 다 게헨나에 멸할 수 있는 분을 두려워하십시오.+ 29 참새 두 마리가 가치가 적은 동전 한 닢에 팔리지 않습니까? 하지만 그중 한 마리도 여러분의 아버지 모르게 땅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30 그분은 여러분의 머리카락까지도 모두 세어 두셨습니다.+ 31 그러므로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은 많은 참새보다 더 소중합니다.+

32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인정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인정하겠습니다.+ 33 그러나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부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부인하겠습니다.+ 34 내가 땅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습니다.+ 35 나는 분열을 일으켜 아들이 아버지와, 딸이 어머니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맞서게 하려고 왔습니다.+ 36 자기 집안사람이 원수가 될 것입니다. 37 누구든지 나보다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더 큰 애정을 가진 사람은 내게 합당하지 않습니다. 나보다 아들이나 딸에게 더 큰 애정을 가진 사람도 내게 합당하지 않습니다.+ 38 그리고 누구든지 자기의 형주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사람도 내게 합당하지 않습니다.+ 39 누구든지 자기 영혼을 얻으려는 사람은 그것을 잃을 것이고, 나를 위해 자기 영혼을 잃는 사람은 그것을 얻을 것입니다.+

40 누구든지 여러분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도 받아들이는 것이고,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보내신 분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41 누구든지 예언자를 예언자이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사람은 예언자가 받는 상을 받을 것이고,+ 의로운 사람을 의로운 사람이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사람은 의로운 사람이 받는 상을 받을 것입니다. 42 누구든지 이 작은 자들 중 하나에게 그가 내 제자라는 이유로 냉수 한 잔이라도 주어 마시게 하는 사람은, 진실로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결코 자기의 상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