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태복음 2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태복음 개요

    • 차. 예수께서 페레아와 예리코 근처에서 수행하신 봉사 (19:1–20:34)

      • 결혼과 이혼 (19:1-9)

      • 독신의 선물 (19:10-12)

      • 예수께서 어린아이들을 축복하시다 (19:13-15)

      • 한 부유한 젊은이가 질문하다 (19:16-26)

      • 왕국을 위해 희생하면 상을 받는다 (19:27-30)

      • 포도원의 일꾼들이 모두 한 데나리온씩 품삯을 받다 (20:1-16)

      •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과 부활에 대해 또다시 알려 주시다 (20:17-19)

      • 왕국에서 자리를 달라는 요청 (20:20-28)

      • 예수께서 예리코 근처에서 눈먼 사람 둘을 고치시다 (20:29-34)

마태복음 20:1

  • 일꾼들을 구하려고: 일꾼을 수확 기간 내내 일하도록 고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필요에 따라 하루씩 고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21: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26면

    「파수대」

    1989/8/15, 8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26; 역 제97장; 파89 8/15 8

마태복음 20:2

  • 데나리온: 로마의 은화. 무게가 약 3.85그램이며 한 면에 카이사르의 초상이 새겨져 있었다. 이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수 시대에 농사일을 하는 일꾼들은 보통 하루에 12시간을 일하고 1데나리온을 받았다.—용어 설명 및 부록 나14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366, 1053면

    「예수—길」 226면

    「파수대」

    2001/12/15, 10면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통-1 1053; 통-2 366; 예길 226; 파01 12/15 10;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3

  • 제3시: 오전 9시경. 기원 1세기에 유대인들은 해 뜨는 시간인 오전 6시경부터 시작해서 낮을 12시간으로 나누었다. (요 11:9) 따라서 제3시는 오전 9시경, 제6시는 낮 12시경, 제9시는 오후 3시경이었을 것이다. 정확한 시계가 없었으므로, 많은 경우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대략적으로 기록할 수밖에 없었다.—요 1:39; 4:6; 19:14; 행 10:3, 9.

멀티미디어

  • 장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26면

    「파수대」

    1989/8/15, 8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26; 역 제97장; 파89 8/15 8

마태복음 20: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3 503

마태복음 20:5

  • 제6시: 낮 12시경.—마 20:3 연구 노트 참조.

    제9시: 오후 3시경.—마 20:3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26면

    「파수대」

    1989/8/15, 8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26; 역 제97장; 파89 8/15 8

마태복음 20:6

  • 제11시: 오후 5시경.—마 20:3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예수—길」 226면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예길 226;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6면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6;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8

상호 참조 성구

  • +레 19:13; 신 24:14, 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366면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통-2 366; 역 제97장; 파89 8/15 8

마태복음 20: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신세계역」 1794면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신세 1794;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8/15, 8-9면

  • 출판물 색인

    역 제97장; 파89 8/15 8-9

마태복음 20:13

상호 참조 성구

  • +마 20: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8/1, 30면

  • 출판물 색인

    파10 8/1 30;

    파73 503

마태복음 20:1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3 503

마태복음 20:15

  • 선하기: 또는 “관대하기”. 이 문맥에서 선하다는 것은 관대하게 행동한다는 의미이다.

    당신의 눈이 시기하는: “시기하는”으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문자적으로 “나쁜; 악한”을 의미한다. (마 6:23 연구 노트 참조) 이 구절에서 “눈”은 사람의 의도나 성향이나 감정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이다.—“시기하는 눈”에 관해 설명하는 막 7:22 연구 노트와 비교.

상호 참조 성구

  • +마 6: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374면

  • 출판물 색인

    통-1 374;

    파73 503

마태복음 20:16

상호 참조 성구

  • +마 19:30; 막 10:31; 눅 13:3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6-227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6-227

마태복음 20:17

  •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실: 예루살렘은 해발 약 750미터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성경은 종종 숭배자들이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언급한다. (막 10:32; 눅 2:22; 요 2:13; 행 11:2) 예수와 제자들은 요르단 골짜기에서 올라가던 중이었는데 (마 19:1 연구 노트 참조) 이 골짜기는 가장 낮은 곳이 해수면보다 약 400미터 낮았다. 따라서 그들이 예루살렘에 가기 위해서는 약 1000미터를 올라가야 했을 것이다.

    올라가실 때: 일부 사본에서는 “올라가시려고 할 때”를 의미하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 표현이 사본상으로 더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막 10:32; 눅 18: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8면

    「파수대」

    1989/9/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8; 역 제98장; 파89 9/1 8

마태복음 20:18

  •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16:21; 막 10:33, 34; 눅 9:22; 18:32, 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8면

    「파수대」

    1989/9/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8; 역 제98장; 파89 9/1 8

마태복음 20:19

  • 기둥에 달아 처형하게: 그리스어 동사 스타우로오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처음 나오는 곳이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성경에 40회 이상 나온다. 이 동사의 명사형은 스타우로스이며 “형주”로 번역된다. (마 10:38; 16:24; 27:3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기둥(2)”; “형주” 참조) 「칠십인역」은 더 7:9에서 높이가 20미터가 넘는 기둥에 하만을 매달라고 왕이 명령하는 부분을 번역할 때 이 그리스어 동사를 사용했다. 고전 그리스어에서 이 동사는 “말뚝으로 울타리를 두르다”를 의미했다.

멀티미디어

  • 채찍

상호 참조 성구

  • +마 27:26, 31; 요 19:1
  • +마 17:22, 23; 28:6; 행 10:40; 고전 15:4

마태복음 20:20

  •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 사도들인 야고보와 요한의 어머니. 마가복음에는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께 다가가 청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막 10:35) 그들은 그러한 요청을 해 달라고 어머니에게 부탁했던 것 같다. 그들의 어머니 살로메는 예수의 이모였을 수 있다.—마 27:55, 56; 막 15:40, 41; 요 19:25.

    경배하며: 또는 “몸을 굽히며; 존경의 표시로 무릎을 꿇으며”.—마 8:2; 18:2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4:21; 27:55, 56
  • +막 10:35-4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3, 29-30면

    「‘따르십시오’」 31면

    「통찰」 제2권 126면

    「통찰」 제1권 1064면

    「예수—길」 228-229면

    「파수대」

    1989/9/1, 8면

    「하나님의 말씀」 89면

  • 출판물 색인

    파23.03 29-30; 통-1 1064; 통-2 126; 예길 228-229; 따 31; 역 제98장; 파89 9/1 8; 하 89;

    깨79 6 45

마태복음 20:21

  • 하나는 선생님의 오른편에, 하나는 왼편에: 막 10:37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19:2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3, 29-30면

    「‘따르십시오’」 31면

    「예수—길」 228-229면

    「파수대」

    2004/8/1, 15면

    1989/9/1, 8면

  • 출판물 색인

    파23.03 29-30; 예길 228-229; 따 31; 파04 8/1 15; 역 제98장; 파89 9/1 8

마태복음 20:22

  • 당신들은 자신이 무엇을 청하고 있는지 모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당신들”이라는 복수형 대명사가 사용된 것은 원문에서 복수형 그리스어 동사가 쓰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과 문맥을 볼 때, 예수께서 어머니가 아니라 아들인 야고보와 요한에게 말씀하신 것임을 알 수 있다.—막 10:35-38.

    잔을 마실: 성경에서 “잔”은 흔히 어떤 사람에 대한 하느님의 뜻 즉 하느님께서 그에게 “정해 주신 몫”을 의미하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시 11:6; 16:5; 23:5) 여기서 ‘잔을 마시는’ 것은 하느님의 뜻에 복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절에서 예수께서 마시게 될 “잔”에는 그분이 신성 모독이라는 거짓 혐의로 고통을 겪고 죽임을 당하시는 것뿐만 아니라 하늘에서 불멸의 생명으로 부활되시는 것도 포함된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26:39; 막 10:38; 14:36; 요 18: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9면

    「파수대」

    1989/9/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9; 역 제98장; 파89 9/1 8

마태복음 20:23

각주

  • *

    또는 “그것을 준비해 두신”.

상호 참조 성구

  • +행 12:2; 롬 8:17; 고후 1:7; 계 1:9
  • +막 10:39, 4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4/1, 14면

    「추리」 163면

  • 출판물 색인

    파10 4/1 14; 추 163;

    깨73 6/22 23

마태복음 20:24

상호 참조 성구

  • +막 10:41-45; 눅 22: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9면

    「파수대」

    1989/9/1,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9; 역 제98장; 파89 9/1 8;

    파76 160

마태복음 20:25

  • 사람들 위에 군림하고: 막 10:4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막 10:4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3/11/15, 28면

    2006/4/1, 19-20면

    1993/8/1, 13면

    1989/9/15, 16-17면

  • 출판물 색인

    파13 11/15 28; 파06 4/1 19-20; 파93 8/1 13; 파89 9/15 16-17;

    파76 160, 330

마태복음 20:26

  • 섬기는 사람: 또는 “봉사자; 종”. 성경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를 다른 사람을 위해 쉬지 않고 겸손하게 봉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종종 사용한다. 이 단어는 그리스도(롬 15:8), 그리스도의 봉사자나 종(고전 3:5-7; 골 1:23), 봉사의 종(빌 1:1; 딤전 3:8)뿐만 아니라, 집안 하인(요 2:5, 9), 정부 관리(롬 13:4)를 가리키는 데도 사용된다.

상호 참조 성구

  • +고후 1:24; 벧전 5:3
  • +마 18:4; 23:11; 막 10:43, 44; 눅 9:48; 22: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3/11/15, 28면

    2006/4/1, 19-20면

    2004/8/1, 15-16면

    1993/8/1, 13면

    1989/9/15, 16-17면

  • 출판물 색인

    파13 11/15 28; 파06 4/1 19-20; 파04 8/1 15-16; 파93 8/1 13; 파89 9/15 16-17;

    파76 160, 330; 파73 500; 파71 570

마태복음 20:27

상호 참조 성구

  • +막 9:3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선생님」 110-111면

    「파수대」

    1989/9/15, 16-17면

  • 출판물 색인

    배 111; 파89 9/15 16-17;

    파76 160, 330; 파73 500

마태복음 20:28

  •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마 20:26 연구 노트 참조.

    생명: 그리스어 프시케는 「신세계역」 이전 번역판에서 “영혼”으로 번역되었는데, 이 문맥에서는 “생명”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용어 설명 “영혼” 참조.

    대속물: 성경 외의 그리스 문헌에서 그리스어 리트론(“풀어 주다; 석방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리오에서 파생)은 속박되어 있거나 노예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풀어 줄 때 또는 전쟁 포로를 석방할 때 지불되는 값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는 이 단어가 이 구절과 막 10:45에 두 번 나온다. 딤전 2:6에는 이 단어와 같은 어근에서 나온 안틸리트론이 나오는데, “상응하는 대속물”로 번역되었다. 그 밖에 어근이 같은 단어들로는 “해방시키다; 대속하다”를 의미하는 리트로오마이(딛 2:14; 벧전 1:18 및 각 구절의 각주 참조)와 흔히 “대속물에 의한 석방”으로 번역되는 아폴리트로시스(엡 1:7; 골 1:14; 롬 3:24; 8:23; 히 9:15; 11:35)가 있다.—용어 설명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눅 22:27; 요 13:14; 빌 2:7
  • +사 53:11; 막 10:45; 롬 5:18, 19; 딤전 2:5, 6; 딛 2:13, 14; 히 9:28; 요1 2:1, 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104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7과

    「통찰」 제1권 438, 930면

    「생활과 봉사 집회 교재」

    2018/3, 2면

    「예수—길」 229면

    「파수대」

    2014/7/15, 30면

    2002/8/15, 13-14면

    2000/3/15, 3-4면

    1991/2/15, 11-12면

    1990/3/15, 3-5면

    1990/1/15, 15면

    1989/9/1, 9면

    「영원히 살 수 있다」 61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104; 행누 제27과; 통-1 438, 930; 집교18.03 2; 예길 229; 파14 7/15 30; 파02 8/15 13-14; 파00 3/15 3-4; 파91 2/15 11-12; 역 제98장; 파90 1/15 15; 파90 3/15 3-5; 파89 9/1 9; 원 61;

    원 61; 연79 4; 파77 449; 파76 152, 156, 160; 식 98; 파75 127; 부 118; 파73 57, 182, 186, 496; 조 107; 깨73 1/22 13; 깨73 9/8 11; 깨73 11/8 6; 파72 180; 파71 570; 깨71 1/8 17

마태복음 20:29

  • 예리코: 요르단강 서쪽에 있는 가나안 도시들 가운데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장 먼저 정복한 도시. (민 22:1; 수 6:1, 24, 25) 예수 시대에는 그 유대 도시에서 남쪽으로 약 2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새로운 로마 도시가 건설되어 있었다. 이 점을 고려하면 눅 18:35이 동일한 사건에 대해 알려 주면서 그 일이 “예수께서 예리코에 가까이 이르셨을 때” 있었다고 언급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예수께서 기적을 행하신 것은 옛 도시에서 나갈 때 즉 그 도시를 떠나 새로운 도시로 가실 때였거나 그 반대의 경우였을 것이다.—눅 18:35 연구 노트 및 부록 나4, 나10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70

    「통찰」 제1권 775면

    「예수—길」 230면

    「파수대」

    2008/5/1, 31면

    1989/9/15, 8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70; 통-1 775; 예길 230; 파08 5/1 31; 역 제99장; 파89 9/15 8

마태복음 20:30

  • 눈먼 사람 둘: 마가와 누가는 눈먼 사람을 한 명만 언급한다. 눈먼 사람 한 명에게 초점을 맞췄기 때문인 것 같은데, 마가는 그의 이름이 바디매오라고 알려 준다. (막 10:46; 눅 18:35) 마태는 그 자리에 있었던 눈먼 사람의 수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윗의 아들’: 눈먼 두 사람은 예수를 “다윗의 아들”이라고 부름으로 그분이 메시아이심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마 1:1, 6; 15:25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9:27; 막 10:46-52; 눅 18:35-4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30면

    「파수대」

    1989/9/15, 8면

    1988/2/1, 5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30; 역 제99장; 파89 9/15 8; 파88 2/1 5;

    파78 3/1 6

마태복음 20:3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30면

    「파수대」

    1989/9/15,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30; 역 제99장; 파89 9/15 8

마태복음 20: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9/15, 8면

  • 출판물 색인

    파89 9/15 8

마태복음 20:34

  • 불쌍히 여겨: 또는 “동정심을 느껴”.—마 9:3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9:36
  • +마 9:2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3/4, 3면

    「‘따르십시오’」 150-152면

    「통찰」 제2권 694면

    「파수대」

    1994/11/1, 14면

  • 출판물 색인

    파23.04 3; 통-2 694; 따 150, 152; 파94 11/1 14;

    파71 548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태 20:17막 10:32; 눅 18:31
마태 20:18막 10:33, 34; 눅 18:32, 33
마태 20:20막 10:35-40
마태 20:22막 10:38
마태 20:23막 10:39, 40
마태 20:24막 10:41-45
마태 20:25막 10:42
마태 20:26막 10:43, 44
마태 20:28막 10:45
마태 20:30막 10:46-52; 눅 18:35-43

일반

마태 20:1마 21:33
마태 20:8레 19:13; 신 24:14, 15
마태 20:13마 20:2
마태 20:15마 6:23
마태 20:16마 19:30; 막 10:31; 눅 13:30
마태 20:18마 16:21; 눅 9:22
마태 20:19마 27:26, 31; 요 19:1
마태 20:19마 17:22, 23; 28:6; 행 10:40; 고전 15:4
마태 20:20마 4:21; 27:55, 56
마태 20:21마 19:28
마태 20:22마 26:39; 막 14:36; 요 18:11
마태 20:23행 12:2; 롬 8:17; 고후 1:7; 계 1:9
마태 20:24눅 22:24
마태 20:26고후 1:24; 벧전 5:3
마태 20:26마 18:4; 23:11; 눅 9:48; 22:26
마태 20:27막 9:35
마태 20:28눅 22:27; 요 13:14; 빌 2:7
마태 20:28사 53:11; 롬 5:18, 19; 딤전 2:5, 6; 딛 2:13, 14; 히 9:28; 요1 2:1, 2
마태 20:30마 9:27
마태 20:34마 9:36
마태 20:34마 9:29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태복음 20:1-34

마태복음

20 “사실, 하늘 왕국은 자기 포도원에서+ 일할 일꾼들을 구하려고 이른 아침에 나간 집주인과 같습니다. 2 그는 일꾼들에게 하루 품삯으로 한 데나리온을 주기로 하고, 그들을 포도원으로 보냈습니다. 3 그가 또 제3시쯤에 나가서 보니, 일거리가 없는 사람들이 장터에 서 있었습니다. 4 그래서 그들에게 ‘당신들도 포도원으로 가시오. 정당한 품삯을 주겠소’ 하고 말했습니다. 5 그러자 그들도 포도원으로 갔습니다. 주인은 다시 제6시와 제9시쯤에도 나가서 그와 같이 했습니다. 6 마지막으로, 제11시쯤에 나가서 보니, 서성거리는 사람들이 또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왜 하루 종일 일거리도 없이 여기에 서 있소?’ 하고 물었습니다. 7 그들은 ‘우리를 써 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는 그들에게 ‘당신들도 포도원으로 가시오’ 하고 말했습니다.

8 저녁이 되자 포도원 주인이 관리인에게 말했습니다. ‘일꾼들을 불러 마지막에 온 사람들부터 시작해서 첫 번째로 온 사람들까지 품삯을 주시오.’+ 9 그래서 제11시부터 일한 사람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 받았습니다. 10 처음부터 일한 사람들은 와서 자기들은 더 받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들 역시 품삯으로 한 데나리온씩 받았습니다. 11 그들은 그것을 받고 집주인에게 불평하며 12 말했습니다. ‘마지막에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만 일했습니다. 그런데도 땡볕에서 하루 종일 고생한 우리와 그들을 똑같이 대우하시다니요!’ 13 그러자 그가 그들 중 한 사람에게 말했습니다. ‘여보시오, 나는 당신에게 잘못한 게 없소. 당신은 한 데나리온을 받기로 나와 합의하지 않았소?+ 14 당신 몫이나 가지고 가시오. 나는 마지막에 온 이 사람에게도 당신과 똑같이 주고 싶소. 15 내 것을 가지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없단 말이오? 아니면, 내가 선하기 때문에 당신의 눈이 시기하는 것이오?’+ 16 이와 같이 마지막 사람들이 첫째가 되고 첫째 사람들이 마지막이 될 것입니다.”+

17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실 때 열두 제자를 따로 데리고 가서 길에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18 “우리는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사람의 아들’이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에게 넘겨질 것입니다. 그들은 그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19 그를 이방 사람들에게 넘겨주어 조롱하고 채찍질하고 기둥에 달아 처형하게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셋째 날에 일으켜질 것입니다.”+

20 그때에 세베대의 아들들의+ 어머니가 아들들과 함께 그분에게 와서 경배하며 무엇인가를 청했다.+ 21 그분이 그 여자에게 “무엇을 원하십니까?” 하고 물으셨다. 그 여자는 그분에게 “제 두 아들이 선생님의 왕국에서 하나는 선생님의 오른편에, 하나는 왼편에 앉게 말씀해 주십시오” 하고 대답했다.+ 22 그러자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당신들은 자신이 무엇을 청하고 있는지 모르고 있습니다. 당신들은 내가 마시려는 잔을 마실 수 있습니까?”+ 그들이 그분에게 “마실 수 있습니다” 하고 대답했다. 23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당신들은 나의 잔을 마실 것입니다.+ 그러나 내 오른편과 왼편에 앉는 것은 내가 해 줄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그 자리는 내 아버지께서 선택하시는* 사람들의 것입니다.”+

24 다른 열 제자가 이 일에 대해 듣고 그 두 형제에게 분개했다.+ 25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들을 불러 말씀하셨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나라들의 통치자들은 사람들 위에 군림하고, 큰 자들은 사람들에게 권세를 휘두릅니다.+ 26 여러분은 그래서는 안 됩니다.+ 도리어 여러분 중에서 누구든지 크게 되고자 하는 사람은 여러분을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27 여러분 중에서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여러분의 종이 되어야 합니다.+ 28 이와 같이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자기 생명을 많은 사람과 교환하는 대속물로 주려고 왔습니다.”+

29 그들이 예리코에서 나갈 때에 많은 무리가 그분을 따랐다. 30 그런데 눈먼 사람 둘이 길가에 앉아 있다가 예수께서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서 “주여, 우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다윗의 아들’이여!” 하고 외쳤다.+ 31 무리가 그들에게 조용히 하라고 꾸짖었으나, 그들은 더욱 큰 소리로 “주여, 우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다윗의 아들’이여!” 하고 외쳤다. 32 그러자 예수께서는 멈추어 서서 그들을 부르시고 “내가 무엇을 해 주기를 원합니까?” 하고 물으셨다. 33 그들은 그분에게 “주여, 눈을 뜨게 해 주십시오” 하고 대답했다. 34 예수께서는 불쌍히 여겨+ 그들의 눈을 만지셨다.+ 그 즉시 그들은 다시 보게 되었으며, 그분을 따랐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