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고린도 전서 1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고린도 전서 개요

    • 마. 동료 그리스도인의 영적 복지에 대한 배려 (8:1–11:1)

      • 1. 우상에게 바쳤던 음식 (8:1-13)

        • 사랑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8:1-3)

        • 우상에게 바쳤던 음식을 먹는 문제로 다른 사람을 걸려 넘어지게 하지 말라 (8:4-13)

      • 2. 사도로서 바울이 세운 본 (9:1-27)

        • 봉사자로서 물질적인 지원을 받을 권리 (9:1-18)

        • 모든 부류의 사람에게 모든 것이 되다 (9:19-23)

        • 생명을 위한 경주에서 자제를 나타내라 (9:24-27)

      • 3. 이스라엘 역사에 나오는 경고의 본 (10:1-22)

        •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경험한 일 (10:1-5)

        • 탐욕, 우상 숭배, 부도덕과 그 밖의 악한 일들에 대한 경고 (10:6-11)

        • 아무도 견딜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유혹받지 않는다 (10:12, 13)

        • “우상 숭배를 피하십시오”. 악귀들의 식탁에서 먹지 말라 (10:14-22)

      • 4.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행사할 때 다른 사람을 배려하라 (10:23–11:1)

        • “모든 것이 허용되지만 모든 것이 세워 주는 것은 아닙니다” (10:23, 24)

        • 다른 사람의 양심을 배려하라 (10:25-30)

        •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하라. 바울과 그리스도를 본받으라 (10:31–11:1)

고린도 전서 10:1

  • 모두 구름 아래 있었고 모두 바다를 건넜으며: 바울은 여기서 모세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탈출할 때 있었던 놀라운 기적을 언급한 것이다. 여호와께서는 홍해의 물이 이스라엘 사람들 양옆으로 벽을 이루게 하셔서 그들이 마른 땅을 밟고 바다를 건널 수 있게 하셨다. (출 14:21, 22, 29) 여호와의 보호와 돌봄을 상징하는 구름기둥이 그들 위에 그리고 그들 뒤에 있었다. (출 14:19, 24; 민 14:14)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은 “바다를 건널” 때 “구름 아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출 13:21
  • +출 14:21, 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51면

    「통찰」 제1권 673면

    「파수대」

    2001/6/15, 14면

  • 출판물 색인

    통-1 673; 통-2 651; 파01 6/15 14

고린도 전서 10:2

  • 모세 안으로 침례를 받았고: 또는 “모세 안으로 잠겼고”. 여기서 바울은 이스라엘 회중이 상징적으로 받은 침례 즉 상징적으로 잠긴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경우에 그리스어 밥티조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조상들이 하느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지도자인 모세에게 맡겨진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여호와께서는 천사를 통해 그 침례를 베푸셨다.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 밑바닥에서 동쪽으로 이동할 때 그들은 물에 둘러싸여 있었다. 또한 그들은 구름에 가려져 있었으므로 그들을 쫓아오던 파라오의 군대의 눈에 보이지 않았다. 그다음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자유롭게 된 민족으로 동쪽 해안으로 이끌어 내셨는데, 그것은 비유적으로 그들을 물 밖으로 끌어올리신 것과 같았다. (출 14:19, 22, 24, 25) 이스라엘 백성이 이 침례를 받기 위해서는 모세와 연합해야 했고 홍해를 건너는 내내 그의 인도를 따라야 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의 인도를 따라야 했다는 의미에서 “모세 안으로” 상징적인 침례를 받은 것이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90, 651, 977면

    「통찰」 제1권 673면

    「파수대」

    2001/6/15, 14면

  • 출판물 색인

    통-1 190, 673; 통-2 651, 977; 파01 6/15 14;

    생 69; 파82 2/15 18; 파79 1 17-18

고린도 전서 10:3

상호 참조 성구

  • +출 16:14, 15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9 1 17-18

고린도 전서 10:4

  • 바위: 여기서 “바위”로 번역된 여성형 그리스어 명사 페트라는 기반암, 절벽, 커다란 바위, 반석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그리스어는 마 7:24, 25; 16:18; 27:60; 눅 6:48; 8:6; 롬 9:33; 벧전 2:8에도 나온다. (마 16:18 연구 노트 참조) 이스라엘 백성은 적어도 두 번 서로 다른 곳에서 기적을 통해 바위에서 물을 공급받았다. (출 17:5-7; 민 20:1-11) 따라서 물의 근원인 바위가 그들을 따라왔다고 할 수 있다. 이 바위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이었는데, 그분은 유대인들에게 “누구든지 목마른 사람은 내게 와서 마시십시오”라고 말씀하셨다.—요 7:37.

    그리스도를 의미했습니다: 또는 “그리스도였습니다”. 이 표현에는 “~이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동사의 한 형태가 사용되었는데, “상징하다; 의미하다”를 뜻한다.—마 26:26 연구 노트 비교.

상호 참조 성구

  • +출 17:6; 시 78:15
  • +민 20:11; 요 4:10, 25; 7: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01면

  • 출판물 색인

    통-1 801;

    파79 1 17-18; 치 44; 령 87; 깨77 6/8 23

고린도 전서 10:5

상호 참조 성구

  • +민 14:29, 35; 히 3:17; 유 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1/6/15, 14면

  • 출판물 색인

    파01 6/15 14

고린도 전서 10:6

  • 본보기: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티포스의 복수형)는 이 문맥에서 “경고의 본보기” 또는 “교훈”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구절과 이어지는 구절들에서 바울은 하느님의 고대 백성의 역사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 강력한 경고의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언급한다.

    해로운 것을 바라지 않게: 이스라엘 백성은 “해로운 것” 또는 일부 번역판에 따르면 “악한 것”을 바라기 시작했다. 그들이 그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여호와께서 마련해 주신 좋은 것들에 대해 감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 백성은 여호와께서 기적으로 공급해 주신 만나에 대해 거듭거듭 멸시하는 태도를 나타냈다. (민 11:4-6; 21:5) 그들은 여호와께서 메추라기를 충분히 공급해 주셨을 때에도 감사할 줄 모르고 수치스러울 정도로 탐욕을 나타냈다. 메추라기 자체가 “해로운 것”은 아니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먹고 싶어 했던 파, 양파, 오이도 해로운 것이 아니었다. (민 11:19, 20, 31-34) 이스라엘 백성이 탐욕스럽고 이기적인 갈망을 나타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은 바울이 말한 것처럼 “해로운 것”, “악한 것”이 되었다.

상호 참조 성구

  • +민 11:4, 34; 시 106: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11/15, 27면

    2001/6/15, 14-15면

    1999/5/15, 16-17면

    1995/3/1, 15-16면

    「‘모든 성경’」 30면

  • 출판물 색인

    파24.12 6; 파10 11/15 27; 파01 6/15 14-15; 파99 5/15 16-17; 파95 3/1 15-16; 감 30;

    파73 55; 회 44

고린도 전서 10:7

  • 여러분은 그들 중 어떤 사람들처럼 우상 숭배자가 되지 마십시오: 여기서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이 시나이산 기슭에서 금송아지를 숭배한 일을 언급한 것이다. (출 32:1-6) 그들은 몇 주 전에 그러한 악한 행동을 금하는 여호와의 명령을 따르겠다고 동의했으면서도 그 법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동을 했다. (출 20:4-6; 24:3) 그들이 여호와를 자신들의 하느님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그렇게 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처럼 우상을 숭배한 것을 가리켜 아론이 “여호와를 위한 축제”라고 부르기까지 한 것을 보면 그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여호와께 드리는 숭배와 우상 숭배를 혼합하려고 하는 잘못을 범한 것이었다.

상호 참조 성구

  • +출 32:4,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11/15, 27면

    2001/6/15, 15-16면

    1999/5/15, 16-17면

    1995/3/1, 16면

  • 출판물 색인

    파10 11/15 27; 파01 6/15 15-16; 파99 5/15 16-17; 파95 3/1 16

고린도 전서 10:8

  • 성적 부도덕을 저지른 ··· 성적 부도덕을 저지르지: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직전에, 모압 평원의 싯팀에서 모압 여자들은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유혹하여, 성적 부도덕을 범하고 프올의 바알을 숭배하는 더러운 행위에 빠지게 만들었다.—민 25:1-3, 9. 고전 5:1 연구 노트 참조.

    그들 중 2만 3000명이 하루에: 바울은 성적 부도덕을 저지르는 것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하기 위해 민 25:9에 나오는 사건을 언급하고 있는 것 같다. (고전 5:9 연구 노트 참조) 민 25:9에서는 “그 재앙으로 죽은 자가 2만 4000명이었다”고 알려 주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그 숫자와 바울이 여기서 언급한 숫자가 일치하지 않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왔다. 하지만 바울은 2만 3000명이 “하루에” 죽었다고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이것은 재앙의 직접적인 결과로 죽임을 당한 사람이 2만 3000명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백성의 “지도자들”은 재판관들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 (민 25:4, 5) 민수기에 나오는 2만 4000명이라는 수는 하느님께서 백성들의 죄에 대해 책임을 물으신 지도자들을 비롯해 죽임을 당한 사람들이 모두 포함된 수일 것이다.

상호 참조 성구

  • +민 25:1, 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84, 1064면

    「‘하느님의 사랑’」 97-98면

    「파수대」

    2010/11/15, 27면

    2004/4/1, 29면

    2001/6/15, 16-17면

    1999/5/15, 16-17면

    1995/3/1, 16-17면

    1992/7/15, 4-5면

  • 출판물 색인

    통-2 584, 1064; 랑 98; 파10 11/15 27; 파04 4/1 29; 파01 6/15 16-17; 파99 5/15 16-17; 파95 3/1 16-17; 파92 7/15 4-5;

    파78 3/1 5; 파74 31; 파73 54

고린도 전서 10:9

  • 그분을 시험하지 맙시다: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여호와를 시험한 여러 경우를 염두에 두고 이렇게 말한 것 같다. 그러한 몇몇 경우들이 출 16:2, 3; 17:2, 3, 7; 민 14:22에 언급되어 있다. 이 구절에서 여호와를 시험한 것처럼 ··· 그들은 뱀에게 물려서 죽었습니다라는 표현은 바울이 한 가지 특정한 경우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그 일이 민 21:5, 6에 언급되어 있는데, 그 구절에서는 “백성은 계속 하느님과 모세를 대항하여 말했고” 그러자 “여호와께서 백성 가운데 독사를 보내셨다”고 알려 준다. 바울은 이 구절을 기록할 때 시 78:18을 염두에 두었을 수도 있는데, 그 구절에서 시편 필자는 이스라엘 백성이 “마음속으로 하느님께 대들었다[직역하면 “하느님을 시험했다”]”고 알려 준다.—이 구절에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면 부록 다3 소개; 고전 10:9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신 6:16
  • +민 21:5, 6; 마 4: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11/15, 27면

    2001/6/15, 17면

    1995/3/1, 17면

  • 출판물 색인

    파10 11/15 27; 파01 6/15 17; 파95 3/1 17

고린도 전서 10:10

  •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이 투덜거린 것처럼 투덜거리지 마십시오: 이스라엘 백성은 여러 번 여호와께 불평하며 투덜거렸다. 예를 들어, 그들은 가나안 땅을 살피고 돌아온 12명의 정탐꾼 중 10명이 나쁜 보고를 했을 때 모세와 아론을 심하게 비난했다. 그들은 모세 대신 새로운 지도자를 세우자고 제안하기까지 했으며 이집트로 돌아가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다. (민 14:1-4) 후에 반역자들인 고라, 다단, 아비람과 그들의 편에 선 자들이 멸망되자 “온 회중이 ··· 투덜거렸다.” 그처럼 투덜거린 사람들은 그러한 처벌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한 것 같으며, 그들의 불평하는 태도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자 여호와께서는 재앙을 가져오셨으며, 그 재앙으로 이스라엘 백성 1만 4700명이 목숨을 잃었다. (민 16:41, 49) 여호와께서는 자신을 대표하는 사람들에게 투덜거린 것을 그분 자신에게 투덜거린 것으로 여기셨다.—민 17:5.

상호 참조 성구

  • +민 14:2; 16:41
  • +유 16
  • +민 14:36, 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10/11/15, 27면

    2001/6/15, 17면

    1995/3/1, 17면

  • 출판물 색인

    파10 11/15 27; 파01 6/15 17; 파95 3/1 17;

    파79 5 45

고린도 전서 10:11

  • 본보기: 또는 “경고의 본보기”.—고전 10:6 연구 노트 참조.

    세상 제도들의 끝에 이른: 사도 바울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한 뒤, (고전 10:1-10) 당시의 세상 제도들 즉 체제들의 끝을 언급한다. (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그러한 “세상 제도들”은 율법 계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제사직, 희생과 식품 규정에 관한 제도, 축제와 안식일이 있는 장막 숭배와 성전 숭배 제도, 후에는 인간 왕이 다스리게 된 국가 제도를 포함했다. 이스라엘 시대 또는 유대 시대를 구분 짓는 많은 특징들은 기원 70년에 온전히 끝에 이르게 되었다. 그때 예루살렘과 성전이 파괴되면서 율법에 규정되어 있던 유대인의 제사직, 희생, 성전 숭배가 영구적인 끝을 맞게 되었다. 또한 하느님께서 선택하신 민족이었던 유대인들은 이방 민족들 가운데로 흩어지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눅 21:24에 나오는 예수의 예언과 이 구절에 나오는 “[유대] 세상 제도들의 끝”에 관한 바울의 말이 성취되었다.

상호 참조 성구

  • +히 9:26
  • +롬 15:4; 딤후 3: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239면

    「통찰」 제1권 1037면

    「파수대」

    1996/6/15, 17-22면

    「‘모든 성경’」 213면

  • 출판물 색인

    통-1 1037; 통-2 1239; 파96 6/15 17-22; 감 213;

    파80 7 14; 파79 1 18; 년 275; 파75 278; 파73 39, 55, 258; 회 44; 깨72 2/8 22; 파71 152

고린도 전서 10:12

상호 참조 성구

  • +잠 28:14; 눅 22:33, 34; 롬 11:20; 갈 6: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1/3/15, 11면

    1989/7/15, 11면

  • 출판물 색인

    파01 3/15 11; 파89 7/15 11;

    파77 93; 파76 418; 년 35; 파74 250, 300; 파72 477, 543; 깨72 2/8 23

고린도 전서 10:13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5:8, 9
  • +눅 22:31, 32; 벧후 2:9
  • +사 40:29; 빌 4: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생활과 봉사 집회 교재」

    2024/3, 4면

    2019/4, 3면

    「파수대」 (연구용)

    2023/1, 11-12면

    「성경 구절 이해하기」 기사 46

    「통찰」 제2권 662면

    「파수대」 (연구용)

    2017/2, 29-30면

    「파수대」 (연구용)

    2016/4, 14면

    「파수대」

    2015/4/15, 26면

    2014/4/15, 21면

    2012/4/15, 27면

    2010/11/15, 27-28면

    2009/5/15, 22면

    2008/3/15, 13면

    2001/3/15, 11-12, 13-14면

    1996/6/15, 11면

    1991/10/1, 10-11면

    1987/3/15, 25면

    「깨어 있으십시오!」 26면

  • 출판물 색인

    웹성해 기사 46; 집교24.03 4; 파23.01 11-12; 집교19.04 3; 통-2 662; 파17.02 29-30; 파16.04 14; 파15 4/15 26; 파14 4/15 21; 파12 4/15 27; 파10 11/15 27-28; 파09 5/15 22; 파08 3/15 13; 있 26; 파01 3/15 11-14; 파96 6/15 11; 파91 10/1 10-11; 파87 3/15 25;

    파83 8/15 16; 파83 11/15 5; 파81 4 14; 파76 493, 532; 파74 406; 파73 198; 파72 279, 503, 541-2; 파71 252, 254

고린도 전서 10:14

상호 참조 성구

  • +신 4:25, 26; 고후 6:17; 요1 5: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추리」 220면

  • 출판물 색인

    추 220;

    파84 2/1 13; 파79 4 48; 파78 11 48; 식 105, 148; 파74 525; 깨73 2/8 23; 파72 543

고린도 전서 10:16

상호 참조 성구

  • +마 26:27, 28; 눅 22:17
  • +마 26:26; 눅 22:19; 고전 12: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32면

    「파수대」

    2006/2/15, 23-24면

  • 출판물 색인

    통-2 932; 파06 2/15 23-24;

    파78 3/15 21, 24

고린도 전서 10:17

상호 참조 성구

  • +롬 12:5; 엡 4: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8 3/15 24

고린도 전서 10:18

상호 참조 성구

  • +레 7: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838면

  • 출판물 색인

    통-2 838;

    파82 2/15 18

고린도 전서 10:19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8: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4 273

고린도 전서 10:20

  • 이방 사람들이 희생으로 바치는 것은 악귀들에게 바치는 것이지: 앞 구절에서 바울은 우상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하지만 우상 숭배가 위험한 실제 이유는 그 배후에 있는 세력 때문이다. 여기 나오는 바울의 말은 신 32:17을 인용한 것이거나 그 내용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일 수 있다. 비슷한 사상이 시 106:36, 37에도 나온다. 예수께서는 우상 숭배의 배후에 “악귀들의 통치자”인 사탄이 있다고 말씀하셨다. (마 12:24-26) 따라서 이방 사람들이 우상이나 거짓 신에게 희생을 바칠 때 그것은 사실상 악귀들을 숭배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러한 의식에는 흔히 희생으로 바쳐진 고기의 일부를 먹는 일이 포함되었다. 그렇게 하는 것은 그들이 섬기는 신들과 함께 식사를 하는 것, 따라서 악귀들과 친교를 나누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상호 참조 성구

  • +신 32:17
  • +유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247면

    「파수대」

    2004/2/15, 5면

    1993/1/15, 22-24면

    1990/12/1, 5면

    「하나님을 찾으려는 인류의 노력」 93-94면

  • 출판물 색인

    통-1 1247; 파04 2/15 5; 파93 1/15 23-24; 파90 12/1 5; 찾 93-94;

    파80 10 23-5; 영 57; 파74 70, 191, 273, 526; 깨74 5/8 13; 파73 88, 300, 500; 깨73 8/22 23

고린도 전서 10:21

  • 여호와의 잔: 앞 구절인 고전 10:16에서 바울은 주의 만찬에서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포도주 잔을 언급한다. 그는 그 구절에서 주의 만찬 때 사용하는 그 잔을 가리켜 “우리가 축복하는 축복의 잔”이라고 부른다. 예수께서는 주의 만찬을 제정하실 때, 제자들에게 포도주 잔을 돌리기 전에 축복의 말씀 즉 기도를 하셨다. (마 26:27, 28; 눅 22:19, 20) 예수께서 세우신 그러한 본에 따라, 그리스도인들은 주의 만찬에서 잔을 돌리기 전에 축복의 말씀 즉 기도를 드린다. 하지만 예수의 대속 희생을 비롯해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모든 마련을 해 주신 분은 여호와이시다. 또한 예수께서는 자신의 희생의 가치를 여호와께 바치셨다. 그 희생이 어떻게 사용될지는 여호와의 뜻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새 계약에 대해 예언하고 그 계약을 제정하신 분도 여호와이셨다. (렘 31:31-34) 따라서 그 잔을 “여호와의 잔”이라고 부르는 것은 타당하다.—부록 다3 소개; 고전 10:21ㄱ 참조.

    악귀들의 잔 ··· 악귀들의 식탁: 주의 만찬은 친교 식사이다. 그 만찬은 어떤 면에서 고대 이스라엘 백성이 바친 친교 희생과 비슷하다. (레 3:1-16; 7:28-36; 고전 10:16) 그리스도인이 우상 숭배자들이 희생으로 바친 음식을 먹는다면 악귀들과 함께하는 것이 될 것이었다. 그리스도인이 주의 만찬에도 참여하고 거짓 신들을 숭배하는 이교도들의 식사에도 참여할 수는 없었다.

    여호와의 식탁: 이 표현은 말 1:7, 12을 인용한 것이거나 그 내용을 염두에 두고 한 말로 여겨지는데, 그 구절들에서는 여호와의 성전에 있는 제단을 “여호와의 식탁”이라고 부른다. “식탁”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이유는 제단에 바쳐진 제물이 “음식[직역하면 “빵”]”에 비해지기 때문이다. (말 1:7; 각주; 겔 41:22) 제단이 하느님을 대표하는 것이었으므로, 이스라엘 사람이 하느님께 바친 친교 제물의 일부를 먹는 것은 하느님과 함께 식사를 하는 것과 같았다.—이 구절에 나오는 여호와의 잔에 대한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고전 10:21ㄴ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겔 41:22; 말 1:7, 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4과

    「파수대」 (연구용)

    2019/10, 30면

    「통찰」 제2권 837면

    「파수대」

    1994/7/1, 8-13면

    「추리」 277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4과; 파19.10 30; 통-2 837; 추 277; 파94 7/1 8-13;

    파80 10 24, 27; 영 43; 식 105; 파73 300

고린도 전서 10:22

  • ‘우리가 여호와를 질투하시게 하려는 것입니까’?: 바울은 여기서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형태로든 우상 숭배에 참여하여 여호와께서 질투하시고 분노하시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바울은 신 32:21을 그대로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그 내용을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그 구절을 문맥과 함께 살펴보면 (신 32:19-21) “그들이 신이 아닌 것으로 나를 격노하게[또는 “질투하게”, 각주] 했다”라고 말씀하신 분이 여호와이심을 알 수 있다.—이 구절에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면 부록 다3 소개; 고전 10:22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출 34:14; 신 32: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10/1, 8면

  • 출판물 색인

    파86 10/1 8;

    파73 300

고린도 전서 10:23

  • 허용되지만: 고전 6:1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6:12
  • +롬 14:19; 15: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5과

    「사랑 안에 머물러 있으십시오」 84-85면

    「‘하느님의 사랑’」 72-73면

    「파수대」

    1998/3/15, 19-20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35과; 랑쉬 84-85; 랑 72-73; 파98 3/15 19-20;

    파78 7/1 9; 사 76/10 6; 파75 340; 파73 276

고린도 전서 10:24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10:32, 33; 13:4, 5; 빌 2:4, 20, 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5과

    「사랑 안에 머물러 있으십시오」 84-85면

    「파수대」 (연구용)

    2017/10, 11면

    「‘하느님의 사랑’」 72-73면

    「하느님을 숭배하라」 140-141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35과, 49, 52; 랑쉬 84-85; 파17.10 11; 랑 72-73; 한 140-141;

    파73 275; 깨73 2/22 14; 깨73 3/22 4

고린도 전서 10:25

  • 고기 시장에서 파는 것은 무엇이든 ··· 먹으십시오: “고기 시장”(그리스어 마켈론)에서는 고기나 생선뿐 아니라 다른 식품들도 판매했다. 신전에서 사용하고 남은 고기를 상인들이 사서 상점에서 판매하기도 했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고기에는 더는 “신성한” 의미가 없었으며 다른 고기와 다를 바가 없었다. 그리스도인들은 신전에서 나온 고기라고 해서 그 자체가 나쁘거나 더럽혀진 것이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 피를 적절하게 뺀 고기라면 살 수 있었다.—고전 8:1, 4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49, 527면

    「파수대」

    2010/10/1, 12면

    1992/10/15, 30면

    「깨어라!」

    1991/2/1, 17-18면

  • 출판물 색인

    통-1 149; 통-2 527; 파10 10/1 12; 파92 10/15 30; 깨91 2/1 17-18;

    파78 10 48; 깨72 12/8 7

고린도 전서 10:26

  • 여호와: 이 구절에서 인용한 시 24:1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표기된 하느님의 이름(יהוה, 로마자로 음역하면 YHWH)이 나온다.—부록 다1 및 다2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시 24:1; 딤전 4: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모든 성경’」 213면

  • 출판물 색인

    감 213;

    사 76/10 4; 깨72 12/8 7

고린도 전서 10:27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2 12/8 7

고린도 전서 10:28

  • 먹지 마십시오: 후기에 만들어진 일부 그리스어 사본들과 그리스어를 다른 언어로 옮긴 고대 번역본들에는 이 표현 뒤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다. “땅도 주께 속한 것이요, 거기에 충만한 것도 그러하기 때문입니다.” 몇몇 현대 번역판들도 그런 표현을 사용한다. 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많은 초기 사본들에는 28절에 그러한 표현이 들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그 표현은 원문의 일부가 아닌 것 같다. 비슷한 말이 고전 10:26에 나오는데, 그 구절의 경우에는 그 말이 원문의 일부라는 점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없다.—부록 가3 및 고전 10:2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8:7, 10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9 8 45; 파77 47; 깨72 12/8 7

고린도 전서 10:29

각주

  • *

    또는 “나는 내 자유가 다른 사람의 양심에 의해 판단을 받을 만한 일은 하지 않겠습니다.”

상호 참조 성구

  • +롬 14:15, 16; 고전 8: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50-151, 705-706면

  • 출판물 색인

    통-2 151, 705-706;

    깨79 8 45; 파77 47; 깨72 12/8 7

고린도 전서 10:30

상호 참조 성구

  • +롬 14:6; 딤전 4: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50-151, 705-706면

  • 출판물 색인

    통-2 151, 705-706

고린도 전서 10:31

상호 참조 성구

  • +마 5:16; 골 3:17, 23; 벧전 2: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3과

    「통찰」 제2권 349면

  • 출판물 색인

    파25.04 10, 12; 행누 제43과, 52; 통-2 349;

    파80 12 43; 청 50; 파78 7/1 13; 파77 390, 537; 파75 378; 파74 224; 사 74/8 3; 파73 11; 파72 303, 439; 파71 523

고린도 전서 10:32

  • 하느님의 회중: 대개 “회중”으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엑클레시아는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여러 가지 대상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용어 설명 “회중” 참조) 이 단어는 영으로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의 집단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마 16:18; 히 2:12; 12:23) 이 구절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느님의 회중”의 성원들에게 “걸림돌이 되지” 말라고 권하는데, 그는 “하느님의 회중”이라는 표현을 더 좁은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그 표현은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는, 그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다.

상호 참조 성구

  • +롬 14:13; 고전 8:13; 고후 6: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3과

    「파수대」

    2007/4/15, 22면

    1992/9/1, 21-22면

    「하느님을 숭배하라」 140-141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3과, 52; 파07 4/15 22; 한 140-141; 파92 9/1 21-22;

    파74 199

고린도 전서 10:33

상호 참조 성구

  • +롬 15:2; 빌 2:4
  • +고전 9: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52과

    「통찰」 제2권 705-706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52과; 통-2 705-706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용

고린도 전서 10:7출 32:6
고린도 전서 10:21말 1:12
고린도 전서 10:22신 32:21
고린도 전서 10:26시 24:1

일반

고린도 전서 10:1출 13:21
고린도 전서 10:1출 14:21, 22
고린도 전서 10:3출 16:14, 15
고린도 전서 10:4출 17:6; 시 78:15
고린도 전서 10:4민 20:11; 요 4:10, 25; 7:37
고린도 전서 10:5민 14:29, 35; 히 3:17; 유 5
고린도 전서 10:6민 11:4, 34; 시 106:14
고린도 전서 10:7출 32:4
고린도 전서 10:8민 25:1, 9
고린도 전서 10:9신 6:16
고린도 전서 10:9민 21:5, 6; 마 4:7
고린도 전서 10:10민 14:2; 16:41
고린도 전서 10:10유 16
고린도 전서 10:10민 14:36, 37
고린도 전서 10:11히 9:26
고린도 전서 10:11롬 15:4; 딤후 3:16
고린도 전서 10:12잠 28:14; 눅 22:33, 34; 롬 11:20; 갈 6:1
고린도 전서 10:13벧전 5:8, 9
고린도 전서 10:13눅 22:31, 32; 벧후 2:9
고린도 전서 10:13사 40:29; 빌 4:13
고린도 전서 10:14신 4:25, 26; 고후 6:17; 요1 5:21
고린도 전서 10:16마 26:27, 28; 눅 22:17
고린도 전서 10:16마 26:26; 눅 22:19; 고전 12:18
고린도 전서 10:17롬 12:5; 엡 4:4
고린도 전서 10:18레 7:15
고린도 전서 10:19고전 8:4
고린도 전서 10:20신 32:17
고린도 전서 10:20유 6
고린도 전서 10:21겔 41:22; 말 1:7
고린도 전서 10:22출 34:14
고린도 전서 10:23고전 6:12
고린도 전서 10:23롬 14:19; 15:2
고린도 전서 10:24고전 10:32, 33; 13:4, 5; 빌 2:4, 20, 21
고린도 전서 10:26딤전 4:4
고린도 전서 10:28고전 8:7, 10
고린도 전서 10:29롬 14:15, 16; 고전 8:12
고린도 전서 10:30롬 14:6; 딤전 4:3
고린도 전서 10:31마 5:16; 골 3:17, 23; 벧전 2:12
고린도 전서 10:32롬 14:13; 고전 8:13; 고후 6:3
고린도 전서 10:33롬 15:2; 빌 2:4
고린도 전서 10:33고전 9:22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고린도 전서 10:1-33

고린도 전서

10 형제 여러분, 나는 여러분이 이것을 알기를 원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모두 구름 아래 있었고+ 모두 바다를 건넜으며+ 2 모두 구름과 바다를 통해 모세 안으로 침례를 받았고 3 모두 같은 영적 양식을 먹었으며+ 4 모두 같은 영적 음료를 마셨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을 따라오는 영적 바위에서 나오는 것을 마시곤 했는데, 그 바위는 그리스도를 의미했습니다.+ 5 그렇지만 하느님께서는 그들 대부분을 못마땅하게 여기셨습니다. 그들은 광야에서 쓰러져 죽고 말았습니다.+

6 이런 일들은 우리를 위한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들처럼 해로운 것을 바라지 않게 하려는 것입니다.+ 7 여러분은 그들 중 어떤 사람들처럼 우상 숭배자가 되지 마십시오. “백성이 앉아서 먹고 마셨으며 일어나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라고+ 기록된 것과 같습니다. 8 또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이 성적 부도덕을 저지른 것처럼 성적 부도덕을 저지르지 맙시다. 그들 중 2만 3000명이 하루에 쓰러졌습니다.+ 9 또한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이 여호와를 시험한 것처럼 그분을 시험하지 맙시다.+ 그들은 뱀에게 물려서 죽었습니다.+ 10 그리고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이 투덜거린 것처럼+ 투덜거리지 마십시오.+ 그들은 멸망시키는 이에게 죽임을 당했습니다.+ 11 이런 일들은 본보기로 그들에게 일어났으며, 세상 제도들의 끝에+ 이른 우리에게 경고가 되게 하려고+ 기록되었습니다.

12 그러므로 서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13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받는 유혹 외에는 아무 유혹도 여러분에게 닥치지 않습니다.+ 하느님은 충실하셔서, 여러분이 견딜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유혹받게 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유혹이 있을 때에 빠져나갈 길을 마련하셔서 여러분이 인내할 수 있게 해 주실 것입니다.+

14 그러므로 사랑하는 여러분, 우상 숭배를 피하십시오.+ 15 나는 분별력 있는 사람들에게 말하듯이 말합니다. 내가 하는 말을 여러분 스스로 판단해 보십시오. 16 우리가 축복하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여하는 것이 아닙니까?+ 우리가 떼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는 것이 아닙니까?+ 17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가 여럿일지라도 한 몸입니다.+ 우리가 모두 그 하나의 빵을 함께 먹고 있기 때문입니다.

18 육적 이스라엘을 보십시오. 희생 제물을 먹는 사람들은 제단에 함께 참여하는 자들이 아닙니까?+ 19 내가 무슨 뜻으로 이 말을 하는 것입니까? 우상에게 바친 것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우상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20 아닙니다. 내 말은 이방 사람들이 희생으로 바치는 것은 악귀들에게 바치는 것이지 하느님께 바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악귀들과+ 함께하는 사람이 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21 여러분이 여호와의 잔도 마시고 악귀들의 잔도 마실 수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여호와의 식탁”에서도+ 먹고 악귀들의 식탁에서도 먹을 수는 없습니다. 22 ‘우리가 여호와를 질투하시게 하려는 것입니까’?+ 우리가 그분보다 강하다는 말입니까?

23 모든 것이 허용되지만 모든 것이 유익하지는 않습니다.+ 모든 것이 허용되지만 모든 것이 세워 주는+ 것은 아닙니다. 24 각 사람은 자신의 유익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유익을 계속 구하십시오.+

25 고기 시장에서 파는 것은 무엇이든 여러분의 양심을 위해 묻지 말고 먹으십시오. 26 “땅과 거기에 있는 모든 것이 여호와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27 믿지 않는 어떤 사람이 여러분을 초대했는데 여러분이 가고자 한다면, 앞에 차려진 것은 무엇이든 여러분의 양심을 위해 묻지 말고 먹으십시오. 28 그러나 어떤 사람이 여러분에게 “이것은 희생으로 바쳤던 것입니다”라고 말하거든, 그것을 알려 준 사람을 위해 그리고 양심을 위해 먹지 마십시오.+ 29 내가 말하는 양심은 여러분 자신의 양심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양심입니다. 왜 다른 사람의 양심에 의해 내 자유가 판단을 받아야 합니까?*+ 30 내가 감사를 드리며 먹고 있다면, 왜 내가 감사를 드리는 음식 때문에 비난을 받아야 합니까?+

31 그러므로 여러분은 먹든지 마시든지 그 밖에 무엇을 하든지,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하십시오.+ 32 유대인에게도 그리스인에게도 하느님의 회중에게도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33 나도 모든 일에서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고 내 유익이 아니라+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구원받게 하려는 것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