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태복음 19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태복음 개요

    • 차. 예수께서 페레아와 예리코 근처에서 수행하신 봉사 (19:1–20:34)

      • 결혼과 이혼 (19:1-9)

      • 독신의 선물 (19:10-12)

      • 예수께서 어린아이들을 축복하시다 (19:13-15)

      • 한 부유한 젊은이가 질문하다 (19:16-26)

      • 왕국을 위해 희생하면 상을 받는다 (19:27-30)

      • 포도원의 일꾼들이 모두 한 데나리온씩 품삯을 받다 (20:1-16)

      •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과 부활에 대해 또다시 알려 주시다 (20:17-19)

      • 왕국에서 자리를 달라는 요청 (20:20-28)

      • 예수께서 예리코 근처에서 눈먼 사람 둘을 고치시다 (20:29-34)

마태복음 19:1

  • 요르단 강 건너편 유대의 경계 지역: 요르단강 동쪽에 있는 페레아, 특히 페레아에서도 유대와 맞닿아 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것 같다. 예수께서는 갈릴리를 떠난 뒤 부활되고 나서야 다시 갈릴리로 오셨다.—부록 가7 지도 5 참조.

멀티미디어

  • 요르단강 동쪽—페레아

상호 참조 성구

  • +막 10: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563면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8면

  • 출판물 색인

    통-2 563;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8

마태복음 19:3

상호 참조 성구

  • +신 24:1; 막 10:2-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93/8/15, 4-5면

    1989/7/15, 8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2; 파93 8/15 4-5; 역 제95장; 파89 7/15 8;

    파78 10 43; 복 172; 깨76 5/8 12

마태복음 19:4

상호 참조 성구

  • +창 1:27; 5: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05면

    「깨어라!」

    2006/9, 9면

    「‘모든 성경’」 18면

  • 출판물 색인

    통-1 105; 깨 06/9 9; 감 18;

    파75 283; 회 8; 잘 15

마태복음 19:5

  • 고착할: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동사는 문자적으로 “접착제로 붙이다; 단단하게 결합하다; 달라붙다”를 의미한다. 이 문맥에서는 마치 접착제로 붙인 것처럼 남편과 아내가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 몸: 그리스어 원어는 창 2:24에 나오는 히브리어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한 사람”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것은 두 사람이 맺을 수 있는 가장 친밀한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한 몸이 된 두 사람은 성적인 면으로만이 아니라 모든 면으로 결속되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충실한 동반자가 된다. 이런 관계가 깨질 경우 둘 다 큰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다.

상호 참조 성구

  • +창 2:24; 엡 5: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2과

    「통찰」 제1권 105면

    「깨어라!」

    2018년 제1호 9면

    2015/4, 7면

    2006/9, 9면

    1991/5/15, 27면

    「모든 사람」 23면

    「‘모든 성경’」 18면

  • 출판물 색인

    파25.01 10; 행누 제42과, 49; 통-1 105; 깨18.1 9; 깨 15/4 7; 깨 06/9 9; 모 23; 감 18; 깨91 5/15 27;

    깨78 3/8 6-7; 파75 283; 깨75 3/22 20

마태복음 19:6

각주

  • *

    직역하면 “멍에를 함께 메게 하신 것을”.

상호 참조 성구

  • +막 10:9; 고전 7: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2과

    「깨어라!」

    2018년 제1호 9면

    2013/11, 14면

    2008/7, 6면

    「파수대」 (연구용)

    2016/8, 15-16면

    「예수—길」 222면

    「파수대」

    2012/5/15, 7면

    2009/7/15, 13-14면

    2007/5/1, 19-23면

    2003/9/15, 5면

    1989/7/15, 8면

    1988/5/15, 4-5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2과; 깨18.1 9; 파16.08 15-16; 예길 222; 깨 13/11 14; 파12 5/15 7; 파09 7/15 14; 깨 08/7 6; 파07 5/1 19-23; 파03 9/15 5; 역 제95장; 파89 7/15 8; 묻 42-43; 파88 5/15 4-5;

    파85 12/15 12, 16; 파81 10/15 16; 파75 283

마태복음 19:7

  • 이혼 증서: 율법에 따르면 이혼하기 원하는 남자는 법적인 서류를 준비해야 했으며 아마 장로들과 상담해야 했을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이 심각한 결정을 다시 생각해 볼 시간을 갖게 해 주었다. 이것은 성급한 이혼을 막고 여성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었던 것 같다. (신 24:1) 하지만 예수 시대의 종교 지도자들은 이혼을 쉽게 할 수 있게 만들었다. 1세기 역사가 요세푸스도 이혼한 바리새인이었는데, 그의 말에 따르면 “어떤 이유로든” 이혼할 수 있었으며 “남자들에게는 그 이유로 삼을 만한 일들이 많았다”고 한다.—마 5:31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이혼 증서

상호 참조 성구

  • +신 24:1; 마 5: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04-105면

    「통찰」 제1권 107면

    「파수대」

    1993/8/15, 4-5면

    1988/5/15, 4-5면

  • 출판물 색인

    통-1 107; 따 104; 파93 8/15 4-5; 파88 5/15 5

마태복음 19:8

상호 참조 성구

  • +막 10:5
  • +창 2: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6/8, 11-12면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8면

    1988/5/15, 4-5면

  • 출판물 색인

    파16.08 11-12;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8; 파88 5/15 5

마태복음 19:9

  • 성적 부도덕: 그리스어 포르네이아.—마 5:3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참조.

    아내와 이혼하고: 막 10:12 연구 노트 참조.

    간음: 용어 설명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말 2:14; 마 5:32; 막 10:11, 12; 눅 16:18; 롬 7:3; 고전 7:10; 히 13: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2과

    「파수대」 (연구용)

    2018/12, 12면

    「통찰」 제2권 660-661면

    「통찰」 제1권 107면

    「예수—길」 222면

    「파수대」

    2012/5/15, 9면

    1995/7/15, 18면

    1993/8/15, 5면

    1989/7/15, 8-9면

    1988/5/15, 4-6면

    「깨어라!」

    1997/4/8, 23면

    1995/8/15, 11면

    1988/3/15, 27면

    「선포자」 177-178면

    「추리」 38면

    「참다운 평화」 147-148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2과; 파18.12 12; 통-1 107; 통-2 660-661; 예길 222; 파12 5/15 9; 추 38; 깨97 4/8 23; 파95 7/15 18; 깨95 8/15 11; 파93 8/15 5; 와 177-178; 역 제95장; 파89 7/15 8-9; 파88 5/15 5-6; 깨88 3/15 27; 평 147-148;

    파84 3/1 18; 파83 7/1 19-20; 발 79; 파80 7 46; 깨79 1 42; 복 172; 깨78 3/8 8; 파77 297; 깨76 5/8 13; 근73 124-5; 파71 191

마태복음 19: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9;

    파77 341; 파75 284; 깨73 3/8 14

마태복음 19:11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7: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2과

    「파수대」

    2012/11/15, 20면

    1996/10/15, 11-12면

    1987/11/15, 14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2과; 파12 11/15 20; 파96 10/15 11-12; 파87 11/15 14;

    파82 10/1 10; 파77 341; 깨77 4/8 6; 깨73 3/8 14

마태복음 19:12

  • 고자: 문자적으로는 거세되어 생식 기능이 없는 남자를 의미하지만, 이 구절에서는 비유적인 의미로도 쓰였다.—용어 설명 참조.

    스스로 고자가 된: 또는 “고자로 살기로 선택한”. 이 구절에서 “스스로 고자가 된 이”는 거세되었거나 그 밖의 이유로 생식 기능을 잃은 남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에 따라 독신의 삶을 사는 사람을 가리킨다.—용어 설명 “고자”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7:32, 38; 9: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42과

    「통찰」 제2권 1191면

    「통찰」 제1권 475면

    「예수—길」 222면

    「신세계역」 1716면

    「파수대」

    2012/11/15, 20면

    1996/10/15, 11-12, 20면

    1992/5/15, 17-18면

    1989/7/15, 9면

    1987/11/15, 14면

    「깨어라!」

    1996/2/8, 11-12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42과; 통-1 475; 통-2 1191; 예길 222; 신세 1693; 파12 11/15 20; 파96 10/15 11-12, 20; 깨96 2/8 11-12; 파92 5/15 17-18; 역 제95장; 파89 7/15 9; 파87 11/15 14;

    파82 10/1 10; 파77 341; 파75 310; 깨73 3/8 14

마태복음 19:13

상호 참조 성구

  • +막 10:13-16; 눅 18:15-1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9;

    파75 466; 파74 453

마태복음 19:14

상호 참조 성구

  • +마 18:3; 막 10:14; 눅 18: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75면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9면

  • 출판물 색인

    통-2 975;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9;

    파75 466; 파74 453

마태복음 19: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2면

    「파수대」

    1989/7/15, 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2; 역 제95장; 파89 7/15 9

마태복음 19:16

상호 참조 성구

  • +막 10:17-22; 눅 18:18-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8/1, 13-14면

  • 출판물 색인

    파86 8/1 13-14

마태복음 19:17

  • 선한 이는 한 분뿐입니다: 여기서 “선한 이”는 하느님을 가리킨다. 예수께서는 이 말씀을 하심으로 여호와께서 선함의 절대적인 표준이심을 인정하셨다. 하느님께서는 그분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무엇이 선한 것인지를 알려 주셨다.—막 10:18; 눅 18:19.

상호 참조 성구

  • +막 10:18
  • +레 18:5; 눅 10:25-2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9/8/1, 8면

    1986/8/1, 13-14면

  • 출판물 색인

    파89 8/1 8; 파86 8/1 13-14

마태복음 19:18

상호 참조 성구

  • +출 20:13; 신 5:17
  • +출 20:14; 신 5:18
  • +출 20:15; 신 5:19
  • +출 20:16; 신 5:20

마태복음 19:19

  • 이웃: 마 22:39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출 20:12; 신 5:16
  • +레 19:18; 마 22:39; 막 12:31; 눅 10:27; 롬 1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9/5, 24-25면

  • 출판물 색인

    파19.05 24;

    복 169

마태복음 19: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4면

    「파수대」

    1986/8/1, 13-1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4; 파86 8/1 13-14;

    파72 167

마태복음 19:21

  •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예수께서는 이 젊은이의 진실하고 진지한 태도를 보셨으며, 막 10:21에 따르면 그를 “사랑스럽게” 여기셨다. 그분은 그가 제자가 되려면 희생적인 태도를 더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아신 것 같다. 그래서 그에게 당신의 소유를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십시오라고 말씀하셨다. 예수의 제자가 되기 위해 가진 것을 모두 버렸다고 말한 베드로와 그 밖의 사람들과는 달리, 이 젊은이는 제자가 되기 위해 소유물을 포기하려고 하지 않았다.—마 4:20, 22; 눅 18:23, 28.

    완전해지기를: 그리스어 원어는 “온전한”을 의미할 수도 있고, 어떤 권위에 의해 정해진 표준에 비추어 볼 때 “흠이 없는”을 의미할 수도 있다. (마 5:48 연구 노트 참조) 여기에 언급된 젊은이는 소유물 때문에 하느님께 완전한 봉사 즉 부족함이 없는 온전한 봉사를 드리지 못하고 있었다.—눅 8:14.

상호 참조 성구

  • +마 6:20
  • +눅 12:33; 18:22; 빌 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455-456면

    「예수—길」 224-225면

    「파수대」

    2007/10/1, 3-4면

    2003/6/1, 7면

    1989/8/1, 8-9면

    1986/8/1, 13-14면

    「왕국 봉사」

    1994/4, 3면

  • 출판물 색인

    그밖주 기사 36; 통-2 455-456; 예길 224-225; 파07 10/1 3-4; 파03 6/1 7; 사 94/4 3; 역 제96장; 파89 8/1 8-9; 파86 8/1 13-14; 깨86 1/15 12;

    파75 564; 파74 279, 460; 파72 167

마태복음 19:22

상호 참조 성구

  • +눅 18: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24-225면

    「파수대」

    2007/10/1, 3-4면

    1989/8/1, 9면

    1987/10/15, 5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25; 파07 10/1 3-4; 역 제96장; 파89 8/1 9; 파87 10/15 5; 깨86 1/15 12;

    파74 460; 파72 167

마태복음 19:23

  •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막 10:23; 눅 18:24; 딤전 6:1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8/1, 13-16면

  • 출판물 색인

    파86 8/1 13-16

마태복음 19:24

  • 낙타가 바늘귀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습니다: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수께서는 과장법을 사용하셔서, 부자가 계속해서 여호와와의 관계보다 재산을 더 앞자리에 둔다면 왕국에 들어갈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신 것이다. 그분의 말씀은 부유한 사람이 아무도 왕국을 상속받지 못한다는 뜻이 아니었다. 이어서 그분이 “하느님께는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마 19:26.

멀티미디어

  • 낙타

상호 참조 성구

  • +막 10:25; 눅 18:2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166

    「통찰」 제1권 345-346면

    「통찰」 제1권 771면

    「파수대」

    2006/1/1, 22면

    2004/5/15, 30-31면

    1992/11/15, 32면

    1987/12/1, 31면

    1986/8/1, 13-15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166; 통-1 345-346, 771; 파06 1/1 22; 파04 5/15 30-31; 파92 11/15 32; 파87 12/1 31; 파86 8/1 13-15;

    깨77 4/22 22

마태복음 19:25

상호 참조 성구

  • +막 10:26, 27; 눅 18:26, 27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7 4/22 22

마태복음 19:26

상호 참조 성구

  • +창 18:14; 욥 42:2; 슥 8:6

색인

  • 출판물 색인

    목 97; 깨77 4/22 22

마태복음 19:27

  • 보십시오!: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막 10:28; 눅 5:11; 18:28; 빌 3: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6/12, 25-26면

    「파수대」

    2008/2/15, 17-18면

    「깨어라!」

    1994/12/15, 19면

  • 출판물 색인

    파16.12 25-26; 파08 2/15 17-18; 깨94 12/15 19

마태복음 19:28

  • 재창조: 또는 “재생; 회복”. 그리스어 팔린게네시아는 “다시; 새롭게; 한 번 더”를 의미하는 팔린과 “탄생; 기원”을 의미하는 게네시스가 결합된 단어이다. 고대 유대인 저술가 필론은 대홍수 뒤에 세상이 다시 형성된 것을 언급할 때 이 단어를 사용했으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이스라엘이 유배 후에 회복된 것을 묘사하면서 이 단어를 썼다. 마태의 기록에서 이 단어는 그리스도와 공동 통치자들이 땅을 다스리면서 첫 인간 부부가 죄를 짓기 전과 같은 완전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심판할 것입니다: 이 구절은 그리스도의 공동 통치자들이 그분과 함께 심판할 것임을 언급하는 구절들과 조화를 이룬다. (고전 6:2; 계 20:4) 성경에는 심판하는 것과 통치하는 것을 연관 짓는 다른 사례들도 나온다. 때때로 성경은 “심판하다” 또는 “재판하다”라는 단어를 “다스리다”나 “통치하다”와 같은 좀 더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삿 2:18; 10:2; 옵 21.

상호 참조 성구

  • +단 7:14; 마 20:21; 눅 22:28-30; 고전 6:2; 계 3:21; 20: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09면

    「통찰」 제2권 861면

    「파수대」

    2015/5/15, 23면

    2011/9/15, 11면

    2010/3/15, 24-25면

    2009/8/15, 8면

    2009/8/1, 22면

    2008/9/1, 29면

    2008/1/15, 30면

    1995/10/15, 21면

    1989/8/1, 9면

    1987/3/1, 27-29면

    「예수—길」 225면

    「깨어라!」

    2008/9, 7면

    2006/12, 7-8면

    2000/2/22, 8면

    「계시록 절정」 288면

  • 출판물 색인

    통-2 861, 909; 파15 5/15 23; 예길 225; 파11 9/15 11; 파10 3/15 24-25; 파09 8/1 22; 파09 8/15 8; 파08 1/15 30; 파08 9/1 29; 깨 08/9 7; 계 288; 깨 06/12 7-8; 깨00 2/22 8; 파95 10/15 21; 역 제96장; 파89 8/1 9; 파87 3/1 27-29;

    생 98-104; 깨74 4/22 22; 파73 475; 깨71 1/8 20

마태복음 19:29

  • 백 배: “여러 배”라고 되어 있는 사본들도 있지만, 현재의 표현이 사본상으로 더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다.—막 10:30; 눅 18:30 비교.

    상속받을: 마 25:34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10:37; 막 10:29, 30; 눅 14:26; 18:29, 30; 히 10:3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6/12, 25-26면

    「예수—길」 225면

    「파수대」

    2009/8/15, 8면

    1989/8/1, 9면

  • 출판물 색인

    파16.12 26; 예길 225; 파09 8/15 8; 역 제96장; 파89 8/1 9

마태복음 19:30

상호 참조 성구

  • +마 20:16; 막 10:31; 눅 13:3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098면

    「예수—길」 225-226면

    「파수대」

    1989/8/15, 8-9면

    1989/8/1, 9면

  • 출판물 색인

    통-2 1098; 예길 225-226; 역 제96-97장; 파89 8/1 9; 파89 8/15 8-9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태 19:1막 10:1
마태 19:3막 10:2-12
마태 19:6막 10:9
마태 19:8막 10:5
마태 19:9막 10:11, 12
마태 19:13막 10:13-16; 눅 18:15-17
마태 19:14막 10:14; 눅 18:16
마태 19:16막 10:17-22; 눅 18:18-23
마태 19:17막 10:18
마태 19:21눅 18:22
마태 19:22눅 18:23
마태 19:23막 10:23; 눅 18:24
마태 19:24막 10:25; 눅 18:25
마태 19:25막 10:26, 27; 눅 18:26, 27
마태 19:27막 10:28; 눅 18:28
마태 19:29막 10:29, 30; 눅 18:29, 30
마태 19:30막 10:31

인용

마태 19:4창 1:27; 5:2
마태 19:5창 2:24
마태 19:18출 20:13; 신 5:17
마태 19:18출 20:14; 신 5:18
마태 19:18출 20:15; 신 5:19
마태 19:18출 20:16; 신 5:20
마태 19:19출 20:12; 신 5:16
마태 19:19레 19:18

일반

마태 19:3신 24:1
마태 19:5엡 5:31
마태 19:6고전 7:11
마태 19:7신 24:1; 마 5:31
마태 19:8창 2:24
마태 19:9말 2:14; 마 5:32; 눅 16:18; 롬 7:3; 고전 7:10; 히 13:4
마태 19:11고전 7:7
마태 19:12고전 7:32, 38; 9:5
마태 19:14마 18:3
마태 19:17레 18:5; 눅 10:25-28
마태 19:19마 22:39; 막 12:31; 눅 10:27; 롬 13:9
마태 19:21마 6:20
마태 19:21눅 12:33; 빌 3:7
마태 19:23딤전 6:10
마태 19:26창 18:14; 욥 42:2; 슥 8:6
마태 19:27눅 5:11; 빌 3:8
마태 19:28단 7:14; 마 20:21; 눅 22:28-30; 고전 6:2; 계 3:21; 20:4
마태 19:29마 10:37; 눅 14:26; 히 10:34
마태 19:30마 20:16; 눅 13:3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태복음 19:1-30

마태복음

19 예수께서는 이 말씀을 마치시고 갈릴리를 떠나 요르단 강 건너편 유대의 경계 지역으로 가셨다.+ 2 많은 무리가 그분을 따랐으며, 그분은 거기서 그들을 고쳐 주셨다.

3 그런데 바리새인들이 와서 그분을 시험하려고 물었다. “무엇이든 근거만 있으면 남자가 아내와 이혼해도 됩니까?”+ 4 그러자 그분이 말씀하셨다. “당신들은 읽어 보지 못했습니까? 사람을 창조하신 분이 시초부터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시고+ 5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남자가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에게 고착할 것이며, 둘이 한 몸이 될 것이다.’+ 6 따라서 그들은 더 이상 둘이 아니라 한 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됩니다.”+ 7 그들이 그분에게 물었다. “그러면 왜 모세는 이혼 증서를 주고 아내와 이혼하라고 지시했습니까?”+ 8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모세는 당신들의 마음이 완고하기 때문에 아내와 이혼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9 당신들에게 말하는데, 누구든지 성적 부도덕이 아닌 다른 근거로 아내와 이혼하고 다른 여자와 결혼하는 사람은 간음하는 것입니다.”+

10 제자들이 그분에게 말했다. “아내가 있는 남자의 입장이 그러하다면, 결혼하지 않는 것이 낫겠습니다.” 11 그분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사람이 그 말을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선물을 받은 사람들만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12 태어날 때부터 고자인 이들도 있고, 사람에 의해서 고자가 된 이들도 있으며, 하늘 왕국을 위해 스스로 고자가 된 이들도 있습니다.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은 받아들이십시오.”+

13 그때에 사람들이 그분에게 어린아이들을 데려와서, 손을 얹고 기도해 주시기를 바랐다. 그러나 제자들이 그들을 나무랐다.+ 14 하지만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어린아이들을 그냥 놔두고, 내게 오는 것을 막지 마십시오. 하늘 왕국은 이런 이들의 것입니다.”+ 15 그리고 그들에게 손을 얹어 주신 다음 그곳을 떠나셨다.

16 어떤 사람이 그분에게 다가와서 “선생님, 제가 영원한 생명을 얻으려면 무슨 선한 일을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17 그분이 그에게 말씀하셨다. “왜 선한 일에 대해 나에게 묻습니까? 선한 이는 한 분뿐입니다.+ 당신이 생명에 들어가기 원한다면 계명들을 계속 지키십시오.”+ 18 그는 그분에게 “어떤 계명들 말입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살인해서는 안 된다,+ 간음해서는 안 된다,+ 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거짓 증언을 해서는 안 된다,+ 19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0 그 젊은이가 그분에게 말했다. “저는 그 모든 것을 지켜 왔습니다. 아직도 무엇이 부족합니까?” 21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당신이 완전해지기를 원한다면, 가서 당신의 소유를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십시오. 그러면 하늘에서 보물을 얻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십시오.”+ 22 그 말씀을 듣고 젊은이는 근심하며 떠나갔다. 그가 가진 재산이 많았기 때문이다.+ 23 그러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진실로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부자가 하늘 왕국에 들어가는 것은 어렵습니다.+ 24 다시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부자가 하느님의 왕국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귀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습니다.”+

25 제자들은 그 말씀을 듣고 몹시 놀라 “그렇다면 누가 구원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말했다.+ 26 예수께서는 그들을 유심히 바라보시면서 “사람에게는 그것이 불가능해도 하느님께는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하고 말씀하셨다.+

27 그러자 베드로가 말했다. “보십시오! 우리는 모든 것을 버리고 선생님을 따랐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받게 되겠습니까?”+ 28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진실로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재창조 때에, ‘사람의 아들’이 자기의 영광스러운 왕좌에 앉을 때에, 나를 따른 여러분은 열두 왕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할 것입니다.+ 29 그리고 누구든지 내 이름을 위해 집이나 형제나 자매나 아버지나 어머니나 자녀나 토지를 버린 사람은 백 배나 받을 것이며, 영원한 생명을 상속받을 것입니다.+

30 그러나 첫째였다가 마지막이 되고 마지막이었다가 첫째가 되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